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 송하진 전라북도 도지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좌부터)이 새만금 태양광발전소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송하진 전라북도 도지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좌부터)이 새만금 태양광발전소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 청와대 홈페이지).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새만금 권역에 세계적 규모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이 본격 추진된다. 특히 정부는 태양광 중심의 3GW급 재생에너지사업을 추진함과 동시에 송변전계통 구축, 투자유치 촉진, 지역주민참여 등으로 세계적인 재생에너지산업의 메카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새만금개발청(청장 이철우)과 전라북도(도지사 송하진)는 30일 전북 군산 유수지 수상태양광 발전소에서 문재인 대통령,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을 비롯해 국회의원, 군산‧김제‧부안 단체장 등과 기업, 연구기관, 주민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날 비전 선포식에서 정부는 새만금을 ‘세계 최고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로 조성해 재생에너지산업을 선점하고 선도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의 개막은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쟁력을 세계적으로 높이는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이며 내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기업에게 대규모 내수시장을 제공하는 기회가 되고 조선기자재 산업과 해양플랜트산업의 수요도 창출할 수 있다”라며 “정부는 재생에너지사업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지자체와도 긴밀히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새만금은 대한민국 에너지전환정책을 가름하는 시금석인 만큼 세계 최고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만들어주길 바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더해 지자체의 추진력과 기획력이 함께 어우러져야 성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시장창출을 위해 새만금 내측에 세계 최대 규모인 3GW급 태양광발전단지와 군산 인근 해역에 GW급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고 수상태양광과 해상풍력 제조산업단지를 건설해 물류공급을 위한 해상풍력 배후 항만 구축, 제조기업 유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 △해상풍력 핵심부품 성능평가센터 △융합시험인증평가센터 △인력양성센터 등 연구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술사업화, 인력양성을 지원해 새만금이 재생에너지의 혁신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조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서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계획’을 발표해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통해 새만금 내부개발을 촉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사업지역 중 소음, 고도제한 등이 있는 공항 인접 지역과 개발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대상으로 태양광 중심의 3GW급 재생에너지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새만금 개발 연계, 송변전계통 구축, 투자유치 촉진, 지역주민참여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태양광발전사업을 진행하고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함으로써 새만금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산업의 메카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한 이날 사업계획 발표 후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송변전계통 조기 구축 등을 위해  △국무조정실 △농림축산식품부 △산업부 △새만금개발청 △전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한국수력원자력 △새만금개발공사 등 관계기관간 업무협약(MOU)도 체결됐다.

정부는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이 새만금에서 가시적으로 추진되는 첫 사업으로서 새만금 개발의 돌파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비전선포를 통해 세계적 규모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연관 기업의 투자가 활성화되고 발전수익 일부를 용지조성 등에 재투자함으로써 새만금 내부 개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은 지역 경제에 훈풍을 불어 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새만금 권역 태양광·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에는 약 10조원의 민간 투자자금이 유입되고 연인원 약 200만명의 건설인력이 참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새만금 권역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조성을 통해 향후 10년간 재생에너지 연관 기업 100개 유치, 양질의 일자리 10만개 창출, 25조원의 경제유발 효과 등이 기대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