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명규 기자

[투데이에너지]최근 새만금 재생에너지 메카 조성을 선언하는 등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국가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다.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재생에너지산업 종사자들에게 있어 성장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재생에너지 전환의 가속에만 집중하는 것은 무리수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쪽은 더욱 많은 설치가 이어져야 한다는 입장과 기존 전력산업체계를 통한 안정적인 생산을 기반으로 시간을 두고 바꿔나가야 한다는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으며 새로운 정부의 출범 이후 이러한 논란은 어디가 옳고 그름이 아닌 어떻게 조절해나갈 것인지 해결해야 하는 공통의 과제로 이어지고 있다.

우선적으로 명확히 해야 할 부분은 아무래도 정부가 목표로 세운 설치량을 통해 확보할 수 있는 발전량이 실제로 가능한지 여부다.

정부가 재생에너지로 실제 목표로 한 만큼의 전력생산이 가능할 것인지 다시한번 짚어보는 것이 환경적으로 불안정한 요소들을 해결해나갈 출발점이 될 것이다.

또하나는 재생에너지로 에너지를 전환하기 위해 투자해야 하는 비용적인 부분에도 대국민적인 합의가 원활히 진행돼야 한다는 점이다. 정부나 한국전력 등 관련기관들이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해 기술적으로 진행하는 부분에는 비용이 필요하고 이 비용들은 전기요금으로 충당할 수밖에 없다.

어느 정도의 규모의 전기요금이 오를 것이다라는 수치상의 문제도 납득시켜야 하지만 정말로 그 정도의 노력과 협력이 있다면 원하는 재생에너지 생산체계가 가능할 수 있는지 정밀적으로 검증하는 부분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결국 이 에너지전환의 목표가 훗날 성공한 정책이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은 얼만큼의 비용, 어떤 정책을 썼느냐가 관건이 아니라 이런 성공을 이뤄내기 위한 국민 모두의 노력을 이끈 합리적인 방법이 어떤 것이었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