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하향 추세를 보이는 국제유가 영향으로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관심이 시들하다.

앞선 정부의 무리한 해외자원개발사업 추진으로 공기업들의 부채가 자본을 넘어서면서 부실이 커진 영향도 적지 않다.

단기간의 M&A, 소지분, 비운영사업에 대한 투자 등 물량 위주의 사업확대가 해외자원개발사업의 부실을 키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신규투자의 급격한 감소로 민간기업내 자원개발 부서의 구조조정이 이뤄졌으며 공기업도 예외가 아니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광물자원공사를 광해관리공단에 통합시키고 부채 규모가 많아진 석유공사의 처리문제가 폭탄 돌리기하는 모습으로 비추지고 있는 측면도 없지 않다.

관련 업계에서는 일부 개선되고 있기는 하지만 자본 잠식 상태의 석유공사에 재정 투입을 통해 가스공사로 통합시키지 않겠느냐는 예상마저 나돌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공기업의 신규투자는 4개 사업에 머물고 있지만 종료된 사업은 무려 26개에 달한다.

올해로 11회를 맞은 해외자원개발 심포지엄 행사장에는 이같은 분위가가 고스란히 전가된 듯 하다.

공기업 주도로 진행해 왔던 해외자원개발사업은 앞으로는 민간기업이 앞장서고 공기업이 뒷받침하는 구조로 전환해 나간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기 때문이다.

이윤 추구를 기본 목적으로 하는 민간기업의 임원이나 오너가 불확실한 미래와 이윤을 바라보고 장기적인 투자를 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자생적인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투자, 운영, 자금 등이 선순환되는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에너지 주요 소비국 가운데 우리나라는 탑 5위 안에 들어간다.

자원이 없으면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에너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자원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지만 당면 문제와 과제는 아니라는 시각이 없지 않아 보인다.

식량과 자원이 무기화되는 세계적 흐름이 쉽게 바뀌지는 않을 것 같다.

그렇다면 단기에 무리한 해외자원개발사업으로 발생했던 문제를 해소하고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구더기 무서워서 장을 담그지 않을 것이 아니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프로세스 개선 등의 투자 효율성과 투명성을 강화해 자생적이면서도 선순환의 자원개발 생태계 전략을 새롭게 마련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