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유가 하락과 미국발 금리 인상 여파로 인해 지난해 LPG를 비롯한 국내 에너지산업의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국내 뿐 아니라 세계 경제상황도 당초 전망치보다 낮춘 수정 예측치를 내놓고 있어 올해 경제상황이 그렇게 녹록치만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대전환으로 떠오르는 신규 사업과 새로운 먹거리에 대한 기대감도 없지 않다.

수소와 전기차 분야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많은 정부의 예산 지원을 통해 2030년까지 성장 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밝히고 있다.

반면 석유와 LPG, 도시가스 등 기존 산업은 연착륙을 위한 출구전략을 세우는데 분주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본연의 사업을 기반으로 하지만 앞으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M&A는 물론 신규 사업을 모색하는 다양한 검토가 본격화되고 있 다. 특히 강릉의 한 펜션에서 발생된 CO중독사고로 고등학생 3명이 사망하는 사고를 접하면서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돌아보는 계기를 만들고 있다.

관리감독업무를 수행해는 지자체는 물론 검사업무를 위탁받은 기관이 가스공급자나 시공자들의 안전점검 활동에 대한 확인을 게을리하지 않고 철저히 했었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없지 않다.

이를 위해서는 저렴한 가격보다 철저한 안전관리 및 점검을 위한 비용이 제품 가격에 포함돼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전점검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점검 및 확인이라는 과정이 뒷받침되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에너지의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토대로 한 세금제도가 마련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사실상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되는 전기와 LNG를 민간 자율에 맡겨진 석유와 LPG, 도시가스 등과 공정한 경쟁과 서비스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미세먼지를 비롯한 환경비용을 고려한 세제개편이 앞으로 준비되지 않는다면 효율적인 예산 집행과 사용만 어렵게 만드는 꼴이 되기 십상이다.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경유차의 폐차를 유도했지만 신차 구입에 대한 지원을 통해 미세먼지 배출이 많은 경유차를 다시 구입하는 결과를 만들기 때문이다.

주택가를 누비는 어린이 통학차량을 비롯해 택배 등 1톤 LPG트럭의 경우 미세먼지를 줄이고 수소와 전기차로 넘어가는 브릿지 연료라는 점에서 정부와 사용자, 연료 공급자 모두 건강비용과 복지확대라는 시각과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성도 없지 않다.

에너지에 대한 전통적 사고를 버리고 새로운 길과 접근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