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지난 2010년 245만5,112대로 증가세에 정점을 찍었던 LPG자동차가 8년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6년에는 9만대를 넘어섰던 LPG자동차의 감소가 다음해 6만2,630대로 감소폭이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인후 지난해 말에는 다시 6만9,614대로 감소폭이 다시 높아지기 시작해 관련 업계의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 제작사에서 생산하는 LPG자동차의 모델이 제한적인데다 신차로는 거의 출시가 이뤄지지 않아 감소폭을 키웠다는 지적이다. 

질소산화물이나 황산화물 등의 배출이 많은 경유차 생산을 늘리기 보다 LPG나 CNG, 수소 및 전기차 생산과 소비가 더 늘어날 수 있는 시스템과 환경 조성이 필요한 실정인 셈이다. 

초미세먼지가 심화되면서 인체 건강 위협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면서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LPG자동차의 연료사용제한을 조속히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높아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이 때문에 윤한홍 의원을 비롯해 곽대훈 의원은 LPG연료사용제한의 전면 폐지를, 정재호 의원은 배기량 2,000cc, 조배숙 의원은 1,600cc까지, 이찬열 의원은 5년이 지난 중고 LPG차의 일반인 사용을 3년으로 단축, 권칠승 의원은 2021년 1월부터 배기량에 관계없이 모든 차종이 LPG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액법 개정안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제출했지만 해당 상임위 법안심사소위원회에 상정조차 되지 못한 상태다. 

한중일 등 주변국과의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여의치 않다고 하더라도 국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줄이려는 정부의 노력과 국회의 역할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는 평가다.

이해관계를 넘어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 위협 요인을 줄이는 대책들을 서둘러 처리해야 하지만 법안 처리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만 더 사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지난해 11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 심사 소위에 출석해 LPG연료사용제한의 전면 폐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차관은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연구용역 결과 LPG수급의 적정성에 문제가 없고 미세먼지 감소와 같은 환경개선효과가 세수 감소효과보다 크며 소비자 선택권 보호도 가능하기 때문에 LPG연료사용제한을 조기에 폐지할 것을 국회에 요청한 셈이다. 

국토교통부에서 집계한 연료별 자동차 등록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등록된 자동차는 2,320만2,555대로 2017년 2,252만8,295대에 비해 67만4,260대가 증가했다. 

그 가운데 LPG차는 205만2,870대로 2017년 212만2,484대에 비해 6만9,514대가 감소해 10.32%의 감소율을 나타내 전체 등록 차량에서 8.8%의 점유율을 보였다. 

반면 휘발유차는 1,101만6,473대로 2017년 1,066만5,406대에 비해 35만1,067대 증가해 52.07%의 증가율을 보인 가운데 전체 등록차량 중 47.5%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경유는 9.92만9,661대로 2017년 957만6,518대에 비해 35만3,143대가 증가해 전체 등록 차량 가운데 42.8%의 점유율을 나타냈으며 올해 중으로 1,000만대의 경유차 등록시대를 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버스를 비롯한 CNG차량은 63대가 감소한 3만9,254대, 전기차는 3만648대가 증가한 5만5,756대, 수소차는 723대 증가한 893대가 각각 등록됐다. 

신규 등록 LPG자동차가 매년 감소하는 가운데 새롭게 출시돼 판매로 연결되는 LPG차량도 거의 없어 LPG자동차 충전소의 부탄 판매량 감소를 부추기고 있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인상 및 각종 비용 증가로 인한 수익 악화로 고전하는 충전소가 점차 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