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웨어옴니 Certified by RESET.(사진제공: 어웨어)
어웨어옴니 Certified by RESET.(사진제공: 어웨어)

[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어웨어(Awair)의 기업용 공기 측정기 어웨어옴니(AwairOmni)가 세계 최초 센서 기반, 성능 중심의 친환경 건물 표준 및 인증제도 리셋(RESET™)의 실내공기질 측정기(Grade B Monitor)로 공식 인증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건물 소유·점유자 또는 전문 관리자들은 그린빌딩 기준의 하나인 리셋(RESET™) 인증을 취득하기 위한 공기 측정기로 어웨어옴니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어웨어옴니는 실내 초미세먼지(PM 2.5)·화학물질·이산화탄소·온도·습도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종합 관리해 건강한 실내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건물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리셋(RESET™) 건물 인증 프로그램은 최근 몇 년간 권위 있는 그린빌딩 평가 기준으로 부상했다. 리셋(RESET™)은 일회성 테스트, 고비용의 데이터 제출 과정을 요구하는 기존 인증 프로그램과 달리 지속적 수치와 장기적인 입주민 건강을 우선 기준으로 삼는다. 또한 건물 전문 관리인이 용도 및 입주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기반하여 공간 유형을 정의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한다.

리셋(RESET™)의 상업용 실내공간 공기질(Air for Commercial Interior) 인증 취득을 희망하는 건물 소유·점유자 또는 전문 관리자들은 어웨어옴니를 활용해 공기질 데이터를 측정, 제출할 수 있으며 실시간 공기질 모니터링으로 건강한 실내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입주민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웨어옴니는 2018년 2월 출시된 어웨어의 기업용 공기 관리 솔루션으로 초정밀 센서를 탑재, 건물 전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초미세먼지 △화학물질 등을 측정, 실시간으로 공기질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옴니의 비즈니스 대시보드는 수백 개에서부터 수천 개까지 이르는 공간의 통합적 관리를 가능케 한다. 대시보드는 건물 전체의 실내 공기질 점수는 물론 각 장소별공기질 점수도 함께 제공한다. 수집된 공기질 데이터는 쉽게 접속 가능하며 타 기기에 전송도 가능하기 때문에 리셋(RESET™) 인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기업 및 건물 관리인들에 유용하다.

어웨어옴니로 측정할 수 있는 실내공기질 요소들의 리셋(RESET™) 인증 기준치는 초미세먼지(PM 2.5) 농도 35μg/m³ 미만을 안전한 수준으로 규정하며 이밖에 보다 엄격한 IAQ(Indoor Air Quality) 목표를 달성하거나 주변 실외 공기질이 일반적으로 권장하는 건강 한계치 이내에 머물러 있는 지역에서는 12μg/m³ 미만으로 고표준 기준치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각종 건축 자재, 카펫, 가구, 직물, 세척제, 접착제, 용해제 및 기타 일반적인 일상 용품에서 유해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이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입주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리셋(RESET™) 이 규정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기준치는 1,000ppm 미만이며 고표준 기준치는 600ppm 미만이다.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농도 최대치는 500μg/m³다. 고표준 인증을 획득하려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400μg/m³를 초과해서는 안되며 실내 공간의 온도 및 상대습도는 초미세먼지(PM 2.5)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리셋(RESET™) 인증 획득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노범준 어웨어 대표는 “전세계적으로 건강한 생활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취득한 그린빌딩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라며 “리셋(RESET™) 공식 인증 실내 공기 측정기인 어웨어옴니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고 나아가 건물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건강하고 믿을 수 있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는 자신감과 행복을 누리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리셋(RESET™) 인증 획득을 위한 기업용 솔루션 어웨어옴니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 (https://getawair.com/pages/awair-for-business)에서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