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경남 기자

[투데이에너지]지난 17일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올해도 수소산업이 더욱 비상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맞춰 지자체들도 수소산업과 관련한 정책들을 발표하면서 수소산업이 국가적인 산업으로 발돋움할 기세가 보인다.

수소산업이 국가적인 지원으로 중장기적인 목표를 세운만큼 그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 국가가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것은 수소산업의 장밋빛 희망이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로드맵을 찬찬히 살펴보면 오는 2022년까지 수소차는 8만대, 발전용 연료전지는 1GW를 공급하겠다고 했으며 2022년을 수소경제 확산기로 보고 대규모 수요 공급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연료전지 전용 요금제를 신설하고 연료전지 REC를 유지해 투자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겠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 수소충전소 1,200개소 보급과 발전용 연료전지를 8GW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계획이 굉장히 공격적임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을 하겠다는 의지가 돋보인다.

그러나 공격적인 계획만큼 한편으로는 계획을 진행하는데 있어 너무 급하게 일을 진행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한다. 일본이나 독일, 미국 등 다른 선진국들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공격적인 계획을 세운만큼 수소산업 발전에 추진력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말하면 성급하게 가다가 넘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사고가 나고 있는 ESS가 지난 2016년 정부에서 보급 정책을 펼치면서 대대적으로 육성에 나섰다가 연이은 화재사고로 인해 최근 산업부에서 인명사고를 우려하며 다중시설의 ESS운영을 중단시킨 바가 있다는 점에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도 과거들을 복기하면서 실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된다.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게 아닌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는 치밀한 계획으로 로드맵이 진행될 수 있길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