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재강 기자] 천연가스 직수입제도를 각 발전사 등 이해관계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2031년에는 2017년대비 2배 이상 증가해 그 비중도 27%까지 성장한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엘타워에서 ‘천연가스 직수입 정책 방향’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천연가스 직수입의 현황과 전망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직수입 정책 방향과 구체적인 과제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발표 및 토론, 청중들의 질의응답 등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전문가들은 국가 수급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한 천연가스 직수입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제도보완과 각 발전소들의 적극적인 선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서정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천연가스 직수입은 2017년 기준 465만톤으로 국내 전체 천연가스 수요의 12%를 차지하고 있으며 2031년에는 2017년대비 2배 이상 증가해 그 비중도 27%까지 확대할 것”이라며 “이러한 직수입 제도는 경쟁 촉진을 통한 효율성 강화, 전력시장 계통한계가격(SMP) 인하 등 긍정적 효과와 함께 전력·가스시장의 수급 불확실성 증가 우려 등 부정적인 효과도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현 제도의 틀 안에서 직수입 제도의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정규 위원은 또한 “국가 수급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수입 의사결정 시기를 앞당기는 한편 현재 가스공사가 모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에 동일한 가격으로 공급하는 방식(평균요금제)은 국제시황에 따라 개별기업의 전략적 행태를 유발한다”라며 “각 발전소마다 글로벌 시황이 구매자에게 유리한 경우 직수입을 선택할 경우 가스공사 평균요금과 직수입 도인단가 차이만큼을 초과이윤으로 획득할 수 있지만 시황이 불리할때 직수입을 선택하지 않고 가스공사에 평균요금을 선택할 경우 타발전소 평균요금이 상승하는 등 경제성, 발전사간 형평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만큼 개별요금방식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