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드맥켄지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주제발표가 진행되고 있다.
우드맥켄지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주제발표가 진행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전력소모량 2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해 3020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에너지저장기술 등 관련산업에 대한 투자없이는 달성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해외 컨설팅업체 우드맥켄지는 27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국은 2030년 재생 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우드맥켄지는 한국의 2030년 재생에너지 예상 보급률은 17%로 원래의 목표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전력 소모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전력 공급 계획을 발표했으며 지난해 재생에너지는 전체 전력 소모량 중 7%를 차지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국은 석탄화력발전소 운영 및 신규 원자로 건설을 제한함과 함께 단계적으로 탈원전 정책을 전개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인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우드맥켄지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용량을 적극적으로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싱 네오 우드맥켄지 대표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은 절대 만만한 과제가 아니지만 한국 정부의 친환경에너지 확대 의지는 조금씩 성과를 내고 있다”라며 “한국은 2019년부터 향후 10년 이내에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3배 증가한 60.5GW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증가분의 대부분은 태양광 및 풍력발전으로 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가 2022년도까지 국가 전력망 전체에 걸쳐 3GW의 발전 용량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새만금 간척지 태양광 사업을 기획하고 있는데 아직 경제성 검토 및 국내 태양광 제조산업에 미치는 효과, 환경영향에 대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싱 네오 대표는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업기간 동안 최소한 1GW에 달하는 태양광발전량을 국가 전력망 내에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이번 사업은 4단계로 진행될 것이 유력하며 각 단계별 시공 용량은 0.3~0.8GW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지싱 대표는 또한 “오는 2030년까지 한국의 태양광발전 용량은 37.5GW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2019년 발전용량의 4배에 달한다”라며 “옥상 태양광 또는 분산형 태양광발전 시설이 이러한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날 우드맥켄지는 태양광발전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해상풍력 발전용량 역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2019년에서 2030년까지 이러한 발전 용량은 6.4GW까지 총 64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로버트 리우 우드맥켄지 수석 애널리스트는 “해상풍력 발전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국가적 수준에서 이를 장려하기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하며 한국이 지닌 조선분야의 우수한 전문성을 활용해 해상부유시설 기술 등을 포함하는 성숙한 해상전력 공급망을 구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드맥켄지에 따르면 노르웨이의 에퀴노르사에서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사업에 관심을 포명한 바 있으며 세계 최대의 해상풍력 개발업체는 외르스테드 역시 한국 내 사업 기회를 물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울산광역시에서는 다국적 대기업인 쉘, 덴마크의 코펜하겐 인프라 파트너, 스웨덴 기술 기업 Hexicon, 캘리포니아 Principle Power 등 개발 컨소시엄과 양해 각서를 체결, 대규모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개발사업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우드맥켄지는 재생에너지의 경우 공급이 불안정할 수 있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 베터리 기술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르 쉬 우드맥켄지 박사는 “한국 정부는 각종 인센티브 정보의 제공을 통해 내년까지 총 4,400억원 규모의 에너지저장부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라며 “이는 발전 용량으로 환산할 시 800MWh에 해당되는데 실제 시장 규모는 이러한 정부 목표 수준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지싱 대표는 “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는 기업과의 전력구매 계약제도를 통해 기업들이 전력을 재생에너지 발전업체로부터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며 “RPS와 REC의 경제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해 산정방식이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해 투자자를 유치, 한국의 재생에너지 산업 성장에 기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