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2029년부터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아지는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된다고 한다.

인구가 감소하면 교육과 병역, 재정 및 에너지산업정책의 변화도 불가피하다.

인구감소 재앙에 에너지산업은 얼마나 준비하고 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우리 정부도 이 때문에 화석연료에서 벗어나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시대를 계획하고 대비하고자 하는 큰 줄기의 에너지 정책방향을 세우고 있으리라.

또 대중교통시스템을 탄소프리 청정수소로 패러다임을 바꿔 미세먼지는 물론 기후변화에도 대응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이 때문에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원전 및 석탄발전의 감축 등을 통해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가시적인 성과도 높여 나가려는 노력을 진행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에너지공급뿐만 아니라 소비구조 혁신으로 정책 외연을 확장해 나가는데 인구감소는 큰 걸림돌이 아닐 수 없다.

특히 GDP대비 에너지소비량인 국내 에너지 원단위도 OECD 35개국 중 최하위 수준인 현실을 타개하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

LPG자동차에 대한 연료사용제한을 전면 폐지하는 등 강도높은 대책도 마련됐지만 국내 에너지산업은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성이 필요하다.

국내 에너지산업은 에너지절약이나 효율적 사용보다는 수요를 증가시키는 방향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정부 정책과 에너지공급사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만큼 그 이면에는 소비자 선택권이 작동되거나 발휘될 가능성은 낮은 수준에 머물 수밖에 없게 된다.

석유와 도시가스, LPG 등 에너지기업들도 공급 중심보다 경제성 있게 효율화하고 효과적인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폭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그 전단계로 연공서열을 없애고 희망의 미래 에너지사회를 만들기 위한 창의적 생각과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인재에 대한 투자와 대우가 뒤따라야 한다.

LPG자동차를 아무런 제한 없이 탈 수 있는 연료사용제한이 37년만에 전면 폐지된 것은 미세먼지가 만들어 낸 것이라는 평가도 없지 않지만 저절로 이뤄진 것은 아니다.

이같은 결과를 이끌어낸 기여자에게 칭찬과 보상을, 그렇지 못한 사람에게는 이를 넘보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인구가 줄어들 미래에 대응한 첫걸음이라고 한다면 논리의 비약이 너무 심할까?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