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한국태양광산업협회가 경영위기에 놓인 웅진에너지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대책을 요구했다.

태양광산업협회는 18일 호소문을 발표하고 경영 위기에 빠진 웅진에너지를 살리기 위해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활용한 지원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태양광산업협회는 “대한민국 태양광 밸류체인의 큰 축을 담당해온 웅진에너지가 무너지고 있다”라며 “중국의 저가 태양광 공세에 잉곳과 웨이퍼가 직격탄을 맞아 수익성이 악화돼 최근 5년간 적자 행진을 이어오다가 지난해에는 약 1,00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고 운을 뗐다.

태양광협회에 따르면 현재 웅진에너지는 잉곳을 생산하는 대전공장과 웨이퍼를 생산하는 구미공장의 가동률을 20%까지 낮춘 상태이고 생산인력도 절반 가까이 줄인 상황이다. 특히 웅진그룹은 추가 지원 의지가 없어 웅진에너지는 사실상 폐업 수순이다.

태양광협회는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제조업 밸류체인 중 어느 한 곳이 무너지면 전 밸류체인이 무너지는 도미노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데 저가 공세를 펴고 있는 중국 때문에 태양광 제조업 기반이 휘청이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잉곳·웨이퍼를 만들고 있는 웅진에너지가 문을 닫는다면 중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라며 “웅진에너지가 폐업해 잉곳과 웨이퍼 제조기업이 사라진다면 우리나라 전체 태양광 산업생태계가 무너지는 것은 정해진 수순”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협회는 문재인 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은 중국기업에 밥상을 차려다 바치는 것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웅진에너지가 비용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취해달라”라며 “기술경쟁력이 뒤처지기 때문에 폐업으로 몰리게 된 것이 아니라 중국 정부의 세제, 금융 등 각종 지원 및 싼 전기료 혜택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해당 업종 전기료는 우리나라의 30~40% 수준이고 독일 기업 바커(WACKER)는 일반적인 독일 지역의 25% 수준의 전기료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회는 “전체 원가에서 전기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폴리실리콘은 40%, 잉곳·웨이퍼는 30%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기업에 대한 전기료 혜택이 전혀 없다”라며 “웅진에너지가 회생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도 확실한 처방은 전기료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협회는 “다만 법과 제도, 국민의 공감대 형성 등이 필요해 곧 바로 조치를 취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이에 따라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활용하면 중국과의 비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전기사용자의 전기요금 3.7%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국내 무연탄 지원사업,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 등에 쓰고 있는데 이 기금의 일부를 지원해 달라는 것이다.

협회는 “재생에너지 제조기업에 전기료 혜택이 주어진다면 봄물 머금은 새싹들처럼 생기를 되찾을 수 있으며 정부가 지원해준다면 협회 소속 셀, 모듈 제조기업들도 마음을 모아 선납금을 주고서라도 잉곳, 웨이퍼 물량을 계약해 웅진에너지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설 것”이라며 “전체 업계가 한마음으로 단합해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재생에너지산업이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더 혁신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