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지난 2년간 연이어 발생한 ESS 화재에 정부가 전수점검을 진행하고 결과발표를 준비 중인 가운데 또 화재가 발생해 철저한 대책마련이 시급해보인다.

지난 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40분께 칠곡군 가산면 학산리 태양광발전시설에서 원인 불명 화재가 발생했다. 경북 칠곡소방서는 태양광발전시설에서 발화된 불이 36m² 규모의 ESS 저장실을 완전히 태우고 28m² 규모의 인근 관리사무실 일부를 태운채 1시간여 만에 진화됐다. 이 과정에서 리튬·이온 재질의 배터리 374개 등이 소실된 상황이다.

칠곡소방서는 ESS에서 발화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며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화재로 2017년 8월부터 시작된 원인 불명 ESS 화재사고는 총 22건으로 늘었다. 특히 정부가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전수조사를 위해 전국 ESS설비의 1/3을 가동중지한 상황에서 또다시 화재가 발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ESS 사고 원인 발표를 3월로 예정했다가 5월로 미뤘고 최근 다시 6월로 연기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ESS 화재사고와 관련해 국민안전의 수준을 높이고 ESS산업이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지속 발전해나가는 계기가 되도록 사고원인조사를 최대한 조속히 완료하고 최종 조사결과 및 ESS 안전강화방안과 ESS 생태계 육성방안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또 화재가 발생하면서 ESS 관련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총 1,490개 ESS사업장 중 약 35%인 522개가 가동중단된 상황이다. 이에 앞서 3월에는 제조사의 자체가동중단 조치로 765개가 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문기관 등을 총동원해 화재실증실험까지 진행하고 일부 단지에 대한 배터리 교체까지 진행했지만 화재원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아직도 미비하다는 점에서 향후 ESS설비 보급 확대와 함께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설비 확대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은 분명해 보인다.

최근 ESS의 빈번한 화재사고를 놓고 가장 근본적인 대책으로는 철저한 시스템구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정부의 법제화 및 의무화, 기술적인 안전대책 수립과 제도변경에 따른 유예기간, 경제성을 고려한 조치도 함께 강구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부 전문가들은 ESS시스템 통합제어 미흡, 배터리 외부의 비정상적인 충격, 배터리 설계 미흡, 설치 및 운용관리 소홀 등 4가지를 근본 원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현장에서 기본이 지켜지지 않은 불법적이고 부주의한 시공사례가 발견되는 등 ESS를 안전하게 설치하고 운영하기 위한 통합적인 안전관리시스템, 법안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ESS는 화재 발생 시 전소되는 특성이 있고 다수의 기업과 제품이 관련돼 있어 사고원인을 규명하는데 최소 5개월 이상의 시간 소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원인을 밝혀내고 사고를 예방하지 못할 경우 추후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도 대처하기 어렵고 그만큼 관련업계의 원활한 사업도 불가능해 보인다.

국내 한 신재생에너지 전문가는 “정부가 가중치를 추가로 주면서 적극적으로 ESS 확대를 지원해오면서 막상 근본적인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도 없었다는 비판을 피하기가 어려우며 연이은 화재에 대한 원인조차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라며 “더욱 큰 문제는 ESS에 대한 정부의 지원대책만 믿고 집중투자해온 업계에 전수점검을 위한 가동중단과 더불어 화재로 인한 수주 중단으로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이고 또한 ESS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늘어나 투자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