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재강 기자] 친환경 선박으로 부상하고 있는 LNG추진선 등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한층 강화된다. 산업통사자원부(장관 성윤모)는 LNG추진선 및 LNG선 화물창 전문인력 양성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 4월24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 보완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보완대책을 통해 총 13개 사업에 692억원의 2019 추경안을 편성했으며 이중 LNG와 관련해 △LNG특화 설계엔지니어링 대·중소협력 기술 26억2,000만원 △LNG벙커링 핵심기자재 지원기반 구축 20억원 △LNG화물창 전문인력 양성 45억원 등을 추경 편성 지원한다.  

보완대책에 따르면 LNG추진선 역량강화 등 친환경 역량강화 지원이 핵심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중소조선사 및 기자재업체의 친환경 역량강화 지원을 확대해 점차 커지는 친환경 선박시장에서 수주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LNG추진선 역량강화를 위해 △모듈화 기술개발 △대형조선사 기술지원 △시험·인증 센터의 선급지정, 보급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추경을 통해 청항선 2척을 LNG추진선으로 연내 추가 발주해 2019년 중 총 7∼8척의 LNG추진선 발주를 지원한다.

또 ‘친환경선박법(2018년 12월 제정)’ 시행을 차질없이 준비해 2020년부터는 관공선의 친환경 선박 발주 의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LNG추진선 확대에 맞춰 벙커링설비가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친환경선박법’을 통해 벙커링사업자에 대한 재정 지원근거 마련도 추진한다. 노후 LNG선 개조 등을 통한 벙커링 구축 방안도 연구에 착수할 방침이다.

산업부 조선해양플랜트과의 관계자는 “친환경선박법에 맞춰 규제완화, 인프라 확충 등 업계가 요구한 사항을 중점으로 확충 및 신규 지원하게 됐다”라며 “LNG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판단해 추후에도 지속적인 지원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산업부.
출처: 산업부.

■관공선 중심 발주 한계

한편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2020년부터 해상선박연료유의 황산화물(SOx) 함유를 기존 3.5% → 0.5%로 낮춰 시행한다. 이에 국내 조선·해운사 등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성도 고려한 LNG추진선 건조 및 발주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 선박시장의 기대에 대한 업계의 관심과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에 따라 이번 보완대책에 2척을 연내 추가 도입하는 계획을 확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직 친환경 선박시장이 초기 단계인 만큼 관련 기술 등을 국내 조선사, 기자재사 등이 습득하기 위해서는 국내 LNG추진선의 대량 발주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한몫했다.

정부가 밝힌 LNG추진선 추가 발주도 지난해 11월 발표한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의 연장선인 셈이다. 당시 정부는 친환경선박의 활성화의 일환으로 LNG연료추진선을 2020∼2025년까지 6년에 걸쳐 140척 발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건은 민간시장으로의 이양이다. 초기 시작인만큼 시작은 정부 주도이지만 향후 민간시장으로 확대로 연계돼야한다는 게 정부의 의도다. 하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정부 중심의 발주가 대부분 수백톤의 소형 선박이다보니 대형 선박기술 습득 어려움 및 채산성이 맞추기가 쉽지 않다고 관련 업계는 말한다. 

또 업계는 민간 선사의 발주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LNG추진선으로 대표되는 친환경 선박시장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반면 선주입장에서도 고민이다. 기존 디젤선박대비 LNG가 아직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아 주저하고 있다. 그 결과 아직은 LNG추진선박 대신 MGO(저유황유) 등의 연료유를 사용하는 쪽으로 시선을 돌리는 중이다.

그럼에도 친환경 기조에 따른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약속과 업계의 기술개발로 인한 선박 단가 인하의 가능성 등은 LNG추진선의 시장 전망을 밝게 하는 요소다.

조선업계의 관계자는 “당분간 MGO 등의 사용으로 기존 디젤 선박이 운용되겠지만 향후 LNG추진선의 기술개발로 인한 건조비 단가하락 등은 관련 시장에 긍정적”이라며 “정부도 관공선 발주 이외에 건조비용, 핵심기술 개발 지원 및 규제 완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LNG추진선이 업계의 먹거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정부의 역할에 대한 기대를 걸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