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경제성없는 농어촌지역에까지 도시가스 보급을 확대하고 LPG배관망을 통해 용기 대신 소형LPG저장탱크를 보급하고 있지만 신규허가 또는 허가대기 충전소와 LPG판매소가 여전히 줄지 않고 있다.

현재 LPG사업을 하고 있는 충전 또는 판매사업자들이 수익 확대나 판로를 넓히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공격적인 진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예전만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소자본으로 LPG사업을 할 수 있었지만 벌크로리, 소형저장탱크 등 투자부담이 높아지고 LPG를 공급받기 위한 자본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신규허가 또는 허가대기신청에 나서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집계한 LPG유통시설에 대한 신규 및 허가대기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충전소는 경북이 61곳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경기도가 60곳, 충남이 54곳, 경남이 31곳, 전북 29곳, 전남 24곳, 강원 23곳, 충북 20곳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또한 대전과 인천이 9곳, 부산과 울산이 6곳, 서울 5곳, 대구 3곳, 광주 2곳, 세종 1곳 등으로 나타났다.

신규허가 또는 허가대기 충전소는 경기도가 18곳으로 가장 많았다. 인구집중에 따른 LPG판로가 많아 LPG자동차 충전소는 물론 용기와 소형LPG저장탱크에 대한 수요를 겨냥한 신규 LPG시장 진출을 위한 결과로 풀이된다.

뒤를 이어 충남이 17곳, 강원도 12곳, 전남 10곳, 경북과 전북이 9곳, 경남 7곳, 충북 6곳, 서울이 5곳, 인천 2곳, 대구 3곳, 부산과 대전, 울산, 제주 등은 각 2곳씩이었지만 광주와 세종에는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가 단 한 곳도 없었다.

신규허가 또는 허가대기 LPG판매소는 경북이 무려 52곳으로 가장 많았다. 도청을 비롯해 공공기관의 이전과 신축 건물과 사람 및 물류비 등의 측면 뿐 아니라 시설물이 많지 않아 각종 보호시설과의 안전거리에 여유가 있어 신청이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뒤를 이어 경기도가 42곳, 충남 37곳, 제주 35곳, 경남 24곳, 전북 20곳, 전남과 충북이 각 14곳, 강원도가 11곳, 대전 7곳, 인천 5곳, 부산과 울산이 각 4곳, 광주 2곳, 세종 1곳 등이었으며 서울과 대구지역에는 LPG판매소의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가 없었다.

서울을 비롯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등과 같은 광역시도의 경우 이미 도시가스 보급률이 높고 건물, 학교 등이 들어서 신규허가 또는 허가대기신청을 할 곳이 없거나 땅값이 높아 이들 지역을 피해 비교적 외곽으로 이전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즉 기존 LPG업체의 거래관계가 구축돼 LPG가격 인하 경쟁을 통해 손실을 보는 것보다는 각종 제조업체나 음식점 등의 전출입이 많은 도심 외곽 신도시나 지방을 겨냥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앞서 지난 2017년에는 404곳의 충전, 판매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 신청이 있었다.

충전소는 모두 88개로 경기도가 12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이 11곳, 경남과 서울이 각각 9곳, 전북 8곳, 강원과 충북이 각각 7곳, 제주와 전남, 세종과 대구 등이 4곳, 충남이 3곳, 인천과 대전이 2곳, 광주와 울산이 각 1곳이었으며 부산은 단 한곳도 없었다.

316곳의 신규허가와 허가대기업체가 있었던 LPG판매소는 경기도가 49곳으로 단연 선두를 달렸다.

뒤를 이어 경남이 46곳, 제주 42곳, 경북 38곳, 충남 34곳, 전남 24곳, 강원 22곳, 충북 18곳, 전북 17곳, 인천 8곳, 부산과 대구가 각 4곳, 대전과 울산이 각 3곳, 광주, 세종이 각 2곳이었으며 유일하게 서울에서는 LPG판매소의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업체가 없는 지역으로 기록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