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고뿐인 안전조치

최근 서울대 실험실 안전관리 실태조사 결과 고정되지 않은 고압가스통 수가 4백22개중 2백3개로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돼 있는 등 안전관리의 허점이 노출. 이에 대해 교육부는 대책마련에 앞장서고 있다고는 하지만.

정작 교육부에서 취한 조치는 위험물질 보유상황만을 파악하도록 지시한 것이 고작.

상대적으로 교육부가 아닌 과학기술부 산하 KAIST는 외부기관에 점검을 요청하고 실험실마다 안전요원을 배치하는 등 실험실 안전관리가 비교적 양호하다는 점검원들의 평.

그러나 KAIST도 최근 장비결함의 사고로 위상이 실추되는 등 대학내 안전불감증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


지금 업계는 폭풍 전야!

지난주중에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던 정부의 가스산업구조개편계획이 다소 지연되고 있지만 이번 주중이면 어느정도 윤곽이 드러날 것 같다는데….

정부의 가스산업구조개편 계획 확정을 앞둔 현시점에서 도입부문에 해당하는 가스공사나 소매부문에 해당하는 도시가스 업계가 적잖은 신경을 쓰고 있는 건 마찬가지 일 듯.

그도 그럴것이 정부가 구조개편계획 수립에 보안을 유지하고 있어 정부안이 어떻게 변할지는 그 누구도 모르기 때문.

정부의 구조개편계획이 확정되면 가스공사든 도시가스업계든 불리한 입장에 처한 당사자는 어떤 형태로든 또다른 불만을 제기할 것으로 보여져 최근 가스업계는 폭풍 전야를 방불케 하는 분위기.


말은 제주도, 사람은 한전으로

지난 6월부터의 감사원 특별감사. 별도의 업무추진비는 별도(?)로 사용하고 광고선전비 고무줄처럼 적용한 공기업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니….

한전이 광고선전비를 불법 전용하여 야유회, 윷놀이, 관광비용으로 사용한 금액이 3년에 1백46억원이라 밝혀진 것.

말이 태어나면 제주도로, 사람이 태어나면 한양으로 보내야 된다는 것은 옛말.

말이야 제주도로 보내도 사람은 한전에 취직시켜야 할 판.


기자와 거지(?)

최근 일부 언론사 기자의 비리행태가 언론에 알려지면서 기자와 거지가 비교되곤 하는데.

'월급이 일정치 않다’‘출퇴근 시간이 불분명하다’‘오란 곳 없어도 갈 곳은 많다’등.

이런 분위기를 틈타 산자부 L모씨, 공식적으로 확정·발표된 자료까지 가슴에 품고 목에 깁스까지 하는데. 결국 자료는 받았으나 뒤끝이 영 개운치 않다.

기자(記者)란 기본적으로 쓰는 사람이고,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켜주는 대변인이다. 정당한 루트를 통한 취재와 기사에 정책당국자는 公事를 분명히 헤아려 행동하길 바란다.


방해공작 2단계

석유수입사들의 행보에 정유업계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운다는데. 한편에서는 타이거대책팀이 꾸려지고.

방해공작 제1단계‘선착장에서 주유소까지’- 수입된 기름을 싣는 탱크로리차의 번호를 적는다. 주유소를 협박한다.

방해공작 제2단계‘신문·방송에서 소비자까지’“중국에서 들여온 질나쁜 석유다, 안정적 시장질서 파괴한다”말 퍼뜨리기.

허나 비슷한 품질이라면 저렴한 제품을 찾는 게 소비자의 생리가 아닐런지.

석유수입사들의 시장점유율이 채 1%도 안된다지만 바늘구멍에 댐이 무너진다했던가.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