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미세먼지 저감과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소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다양하고 심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지난 5월 강원테크노파크 강릉벤처센터에 설치된 수소저장탱크 4기가 폭발한데 이어 노르웨이 수소충전소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하면서 가스안전 문제를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

폭발범위가 4~45%인 수소는 통상 45Mpa 이상 내부 압력이 가해졌을 때 폭발 가능성이 있는데 공기보다 14배 가벼워 누출됐을 때 대기 중에 빠르게 확산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번 노르웨이 수소충전소 폭발도 정확한 사고 조사 결과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외신에서는 수소충전소에 설치된 저장탱크나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장착된 수소용기에서 빚어진 폭발사고라기보다는 수소충전소 내 누출된 수소가 미상의 원인과 결합해 폭발로 연결된 것이라는 추정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얼마 전 문재인 대통령은 환경의 날을 맞아 2022년까지 미세먼지 배출량을 2016년대비 30% 이상 감축하고 늦어도 2030년까지 경유차 사용을 제로화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화석연료의 고갈에 미리 대비하고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현상이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적인 당면 과제가 되고 있는 이 때 우리나라가 수소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기술 선점을 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먹거리로 성장시켜 나갈 필요성은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다.

하지만 수소관련 기술과 제품, 인프라 구축을 통해 내수시장에서 사전 점검하고 이를 전세계적으로 보급해 나가기 위해서는 수소폭발 등에 따른 안전 문제가 최우선 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비록 수소의 생산, 저장 및 유통부터 인프라시설을 구축하고 수소차량을 개발 및 보급 필요성이 크다고 하지만 사고에 대비한 안전 문제에 대해 철저히 대응하지 않을 경우 엄청난 인명 및 재산상 피해는 물론 정부가 목표로 하는 기술 선점을 통한 세계 시장 1위 달성 목표는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급하다고 우물에 가서 숭늉을 찾을 수는 없다. 수소용기와 저장탱크, 충전인프라, 수소생산 기술과 가격, 탄소 배출량 저감 등과 같은 공통 과제가 문제없이 진척돼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안전문제부터 먼저 차근차근 챙겨나가길 바란다.

범 정부 및 공기업, 관련 기업 등이 모두 참여해 수소안전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와 학술 및 정보 교류의 장도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