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나영 기자

[투데이에너지]에너지전환은 단순하게 에너지원의 변화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 우리가 되새겨 봐야할 것은 에너지전환이라는 이슈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다.

전세계는 지구의 온도상승을 둔화시키기 위한 목표로 온실가스 저감 및 화석연료사용을 지양하자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에너지전환을 천명했고 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보급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

다만 문제는 다른 국가와 달리 우리나라가 에너지원의 변화에만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가 되는 부분이 있긴 하다. 원자력발전의 경우 안전에 대한 국민의 수요성이 떨어지고 유연탄 등은 미세먼지를 비롯해 국민적 정서가 맞지 않아 찾아낸 것이 신재생에너지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제조산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신재생에너지로는 제조산업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충분하고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에 무리가 따른다.

태양광과 풍력에서 생산하는 전력은 간헐적이어서 이를 지속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ESS라는 에너지저장장치를 내놨다. 문제는 이 역시 안전에 대해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근 잇따른 ESS화재사고로 정부에서 조차도 ESS를 기반으로 한 재생에너지의 사용허가를 보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작정 에너지원의 전환을 이야기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다분해 보인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에너지전환을 위해서는 에너지원의 변화가 아니라 에너지효율향상이라는 관계 전문가들의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더 들어가면 에너지효율향상을 위해서는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또 에너지설비를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효율이 높아지게 마련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에너지진단이다. 국내에서 일정규모 이상의 사업장에서 에너지진단은 의무다. 5년에 한번씩 의무적으로 받아야만 지만 현행 진단은 형식에만 그치고 있다. 정부가 에너지전환을 지속가능하도록 하려면 철저하고 체계화된 진단이 이뤄져야 한다. 이에 따라 진단기관의 역량도 보다 강화돼야 할 것이다. 모래위에 지어진 집은 무너지게 마련이다. 기초부터 튼튼하게 다져야만 좋은 집을 지을 수 있는 것처럼 에너지전환정책 역시 근본부터 다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