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좌 첫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좌 첫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정부가 원전해체·폐기물관리 등 원전 후행주기 분야 육성을 본격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4일 석탄회관에서 ‘제3차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를 개최해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의 기자재 해외진출 사례 소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후속조치 현황 및 정부지원 사항 등을 점검했다.

우리나라 원전산업은 설계·건설 등 선행주기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치우쳐 있어 해체·폐기물관리 등 후행주기 산업기반은 부족하다.

이에 반해 전세계적으로 가동 중인 원전 453기 중 30년 이상 된 원전의 비중이 68%에 이르러 노후 원전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12기에 이르게 돼 후행주기 산업역량 육성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이번 민관협의회 행사는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 국내기업의 기자재 수출과 같은 우수사례를 적극적으로 소개해 기존의 선행주기 역량을 토대로 새로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잠재 역량과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고 원전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또한 지난 4월 발표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의 후속조치 점검과 함께 원전기업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개발(R&D) 자금 지원, 원전해체 대비 조기발주 등 정부지원 계획 등에 대해서도 점검·확인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소개된 세아베스틸과 두산중공업(두산밥콕)의 사례는 해체·폐기물 관리 등에서 사업수행 실적(Track-Record)이 부족하고 아직 국내 후행주기 산업이 본격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국내기업의 기술과 역량이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향후 전 세계적으로 본격화될 원전해체·폐기물관리 등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원전 중소기업 연구개발 자금지원을 강화한다.

원전해체 분야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하반기에 추가로 R&D 신규과제 참여기업을 공모할 예정으로 9개 과제에 약 79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추가로 해체와 방폐물관리 분야의 고도화 기술개발 및 상용화 역량 확보를 위해 과기부와 공동으로 중장기 기술개발 사업을 기획 중에 있다.

해체분야는 2020년 상반기, 방폐물 관리 분야는 오는 11월 각각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또한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원전해체 단위사업을 세분화(1개 단위사업을 6개로 분리하는 등)해 2022년까지 총 1,640억원 조기발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상반기에 고리 1호기 안전관리기간 정비공사 등에 이미 74억원의 사업물량 발주를 완료했으며 올 하반기에 추가로 고리1호기 수계소화 배수설비 설계변경 등 약 120억원의 사업물량에 대해 발주할 예정이다.

이어 국내·외 전문기관과 협력해 올해 300명 이상의 전문인력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며 원전해체 지원센터 등을 통해 관련 제도 개선 및 선진국과의 기술협력·정보교류 등도 꾸준하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오늘 발표한 사례들을 통해 우리 원전기업의 잠재역량과 성장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기업들이 원전해체, 방폐물 관리 등 후행주기 분야의 다변화된 신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이어 주 실장은 “정부도 오늘 발표한 사례들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R&D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