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수소선박 ‘Zemsihp’. (사진출처: proton-motor)

[투데이에너지 박설민 기자] 수소선박이 미래 조선산업의 경쟁력이자 선박 트렌드의 핵심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수소선박산업의 후발주자로 평가받는 우리나라 역시 기술개발 및 정부의 지속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유상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연구위원이 지난 2일 이슈브리프를 통해 공개한 ‘수소선박 도입 필요성과 개발 현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IMO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50% 감축 규제시행을 예고했다. 

국제해사기구(IMO)의 CO₂규제강화 등에 따라 장기적으로 친환경 수소선박으로 기술혁신 가속화가 예상되고 있다. 

2019년 5월 개최된 MEPC(IMO 산하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는 CO₂배출량 규제강화를 결의하는 등 환경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MEPC74차 회의에서는 20만DWT 이상 대형컨테이너선의 경우  CO₂감축량을 당초의 2025년까지 30% 감축에서 2022년까지 50%감축으로 강화할 것을 결의했다.

또한 선박 배기가스 규제 충족을 위한 저감기술인 LNG추진선, 저유황유,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등은 화석연료 사용하기 때문에  CO₂규제강화 대응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환경규제 충족의 최적대안으로 평가받는 LNG추진선 역시 벙커C유 대비  CO₂를 80% 배출하는 등 화석연료 사용시 CO₂ 발생은 불가피해 CO₂ 규제강화대응에 근본적인 어려움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환경규제 충족과 자율운항선박의 등장에 따른 전기추진체계 도입으로 인해 최적의 대안인 수소선박 기술혁신 가속화가 예상되고 있다.

수소선박은 배기가스 저감, 낮은 소음과 진동 등 환경측면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동체계, 가격하락 가능성, 자율운항선 접목 등 미래 트렌드와 시장성 측면에서도 장점을 보유해 차세대 선박 추진체계로 적합하다고 평가받는다. 

현재 수소차는 내구성 및 안전성 검증이 완료됐으며 기술 성숙도가 높고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소선박에 기술응용을 적용함으로써 수소선박 상용화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수소선박에 대한 지원을 추진 중이나 아직까지 선도국대비 개발진행 및 속도에서 밀리는 상황이다.

독일은 이미 10년전 Zemship(Zero emission ship)프로젝트를 통해 승객 100명 규모의 수소선박을 최초로 건조해 운항 중이며 영국, 네덜란드, 미국 등도 소형 수소선박을 건조해 실증 운항 중이다.

정부는 ‘2018년 수소선박 지원방안’, ‘2019년 선박 R&D 플랫폼 구축’ 및 육상에서의 성능평가지원 등을 발표했으나 실질적인 성과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박유상 연구위원은 “수소선박 기술확보 및 실증 데이터 축적을 위한 업계의 노력과 정부지원이 필요할 것”이라며 “전기추진체계를 포함한 추진시스템 전반에 대한 주도권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조선산업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경쟁력 우위 유지 도모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