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유관기관 관측자료 수집 및 지진조기경보 적용 현황
최근 5년간 유관기관 관측자료 수집 및 지진조기경보 적용 현황

[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정미 의원(정의당)은 기상청이 제출한 2018년 전유관기관 지진관측자료 품질분석 결과(이하 품질분석)에 따르면 지진관측자료 수집율이 69.21%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품질분석은 6개 기관 194개 지진관측소의 100샘플 속도가속도 자료 대상으로 분석했다는 것이다.

기상청의 자료에 따르면 유관기관 지진 자료 관측소는 101개소에서 194개소로 93개소가 늘었고 지진자료 활용 관측소도 44개소에서 66개소로 22개소 확대됐다. 그러나 지진관측자료는 정기적인 품질분석 및 관리가 미흡해 실시간 자료수집 등에서 불안전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의 2018년 품질분석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전반적으로 자료 송수신 상태가 안정적인 반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한국농어촌공사·한국수자원공사는 전체 자료수집율이 50% 미만이며 전반적인 자료 송수신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력안전기술원의 경우 2018430일 이후로 자료수신이 되지 않고 있으며 농어촌공사는 11개 관측소가 전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자원공사의 경우 자료수집율이 0%인 관측소 18개소, 0%를 제외한 50% 미만 관측소 10개소로 자료공유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원자력안전기술원은 지난해 4월 이후 자료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복구가 필요하고 농어촌공사와 수자원공사는 전반적으로 자료수집율이 낮고 지연시간이 길었다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유관기관의 지진관측자료가 조기경보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실시간 자료 수신의 연속성과 안전성 및 정확한 탐지 수준이 검증되고 확보돼야한다. 그러나 최근 5년간 기상청의 유관기관 관측자료 수집 및 지진조기경보 적용현황을 살펴본 결과 지난 2016년 경주지진사태 이전인 2015년보다 평균 적용율이 약 19%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5년의 경우 205개소 지진관측자료를 수집해 186개소의 자료를 조기경보로 91% 적용시켰다. 반면 최근 5년간(2015~2019) 유관기관 지진관측자료를 수집해 조기경보로 적용한 비율은 평균 72%로 약 19%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한편 유관기관 지진관측자료를 지진조기경보 시스템에 활용하기까지 5단계 과정을 거친다. 관측기관의 관측현황 및 관측자료 공유 방안에 대한 협의를 한 후 자료를 연계해 수집한다. 그 이후 수집한 자료에 대한 품질분석 및 시험운영을 수행하고 현업운영에 대한 적정성평가를 실시해 결과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현업 지진조기경보 시스템에 활용한다. 기상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과정 수행시 6개월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관기관 지진자료 수집과 분석적정성평가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상청과 유관기관의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동안에 협의회는 연 4회로 대면 또는 서면회의로 운영됐다. 협의회는 실무자 위주로 구성돼 관측자료 수집과 품질관리 개선 등에 대해 실효성과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하고 추진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최근 들어(20196) 협의회를 각 기관의 관리자급(본부장 또는 바로 아래 직급)으로 구성하도록 관련 법령과 규정이 개정돼 협의회가 재구성됐다.

이에 이정미 의원은 지난 경주지진, 포항지진사태를 겪은 이후 국민들은 지진강도가 낮은 여진이라도 불안감과 공포를 느끼고 있다유관기관 지진관측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의원은 기상청은 정기적으로 유관기관 관측자료의 품질을 강화하고 정기협의회 확대 등 협업과 소통을 통해 관측자료를 조기경보시스템에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