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전세계적으로 사용후핵연료가 국가적 난제인 가운데 원전이 미래에너지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백재현 의원은 14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사용후핵연료 문제는 모든 원전 운영국의 난제로서 현재 영구처분시설 건설을 완료해 운영 중인 국가는 없다고 밝혔다.
 
백재현 의원에 따르면 핀란드가 2001년 세계 최초로 영구처분시설 부지를 선정하고 2016년 11월 올킬루오토(Olkiluoto) 지하 약 400~450m 암반에 영구처분시설 건설에 착수했고 스웨덴이 포스마크(Forsmark) 지하 약 500m 암반에 영구처분시설 부지를 확보한 단계 정도다.
 
이 과정에서 스웨덴 환경법원은 방폐사업자(SKB)의 심층처분장 건설허가 신청에 대해 일부 과학자와 환경단체가 제기한 처분용기 성능을 이유로 2018년 1월23일 환경영향평가에서 부정적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2019년 6월말을 기준으로 경주 월성발전소가 91.2%의 포화율을 보이고 있으며 2021년 11월이면 포화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울진 한울 발전소가 80.2%, 기장 고리발전소가 77.3%, 영광 한빛 발전소가 70.6%의 포화율을 보이고 있는데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연구용역 결과 모두 2030년 전후로 포화가 예상된다. 향후 국내 원전해체를 계기로 해체방폐물까지 대량 추가가 예상되면서 방사성 폐기물처분은 더욱 심각한 국가적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3년 내 발생 지진 대부분이 원전·방폐장이 다수 위치한 경상도 지역에서 발생하면서 방폐장등 원자력 시설에 대한 안전 이슈는 더욱 부각되고 있다.
 
백재현 의원은 “사용후핵연료 관리문제는 원전을 운영하는 모든 나라가 안고 있는 난제로 방폐장 문제 해결은 친원전·탈원전을 떠나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할 국가적 과제”라며 “이것이 원전이 더 이상 미래에너지의 대안일 수 없는 이유”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