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포스코에너지의 수소연료전지 유지보수비용(LTSA) 강제적 인상으로 인해 국내 수소연료전지산업이 줄도산 위기에 빠진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의 한 축을 담당했던 한국수력원자력·한지역난방공사·한국동서발전·한국서부발전의 5,000억원(총 사업비)이 넘는 연료전지가 곧 가동이 멈출 예정이며 이미 가동중지가 된 발전소가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규환 의원은 14일 국정감사에서 미국 퓨어셀에너지 기기의 국내 독점공급권을 가진 포스코에너지가 2세대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을 목적으로 14년간 정부보조금을 440억원 이상 받았는데 재계약이 도래하자 돌연 기술개발 실패를 시인하며 연료전지 유지보수(LTSA) 비용을 강제적으로 2배 이상 올리는 요구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포스코에너지는 재계약 기간이 도래하자 돌연 기술개발 실패를 시인하며 원가를 핑계로 유지보수(LTSA)비용을 2배 이상(8억원/기→16억원/기) 올리는 일방적 요구를 했으며 한수원(경기그린에너지 21기, 58.8MW)은 포스코에너지의 요구에 줄다리기를 하다 결국 단독계약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규환 의원에 따르면 포스코에너지는 계약을 제시하면서 타사업자의 스택구매 요청에도 불구하고 한수원에 2배 이상의 유지보수 비용을 받기위해 팔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더 심각한 문제는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의 국내 독점권을 가지고 있어 대체재도 구하기 힘든 상황이라 발전소들은 꼼짝없이 따라야하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 연료전지 사업자들은 LTSA계약체결시 재정부담으로 인해 연료전지를 가동 중단할 예정이며 공공기관은 유지비(약1,480억 증가 추정)를 국민세금으로 고스란히 떠안게 생겼다.

또한 정부는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동 사안에 대해서는 수수방관 중이며 국가보조금에 관한 적정시행여부에 대해서는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다. 김규환 의원에 따르면 정부가 14년간 기술개발의 완료 및 성공의 명목으로 포스코애너지에게 지원한 지원금만 440억원 이상이고 기술개발의 결과물도 사장됐는데 산업부는 산업기술혁신 촉진법에 따라 국가보조금이 제대로 사용됐는지 확인도 안하고 있다.

심지어 연료전지 사업자(한국지역난방공사) 들이 파산하면 전기뿐만 아니라 약 10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열이 사라지면서 국민의 난방비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연료전지로 생산하는 열은 일반 도시가스 보다 30~40% 원가가 저렴하기 때문이다.

김규환 의원은 “정부의 수소경제 로드맵에 역행할 수 없다는 한수원의 의지가 LTSA 금액을 2배 이상 올렸고 유지비용을 지불할 수 없는 나머지 민간사업자들을 도산시키고 있다”라며  “포스코에너지의 LTSA 제안 금액이 적절한 적자효과와 원가를 반영해 산정됐는지 공정위는 조사해야하고 산업부는 산업기술혁신 촉진법에 따라 국가보조금이 제대로 사용됐는지 감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포스코에너지의 관계자는 “포스코에너지가 국내 2세대 연료전지시장을 최초로 개척하면서 시행착오를 겪은 것은 사실”이라며 “국내 연료전지시장의 확대가 예상에 미치지 못하며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지만 2세대 연료전지시장의 공생을 위해 원가 수준의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