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명규 기자

[투데이에너지]에너지전환을 실현하기 위해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확대를 범정부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수용성 부족으로 인한 인허가 갈등으로 사업지연을 허구한 날 겪고 있는 태양광과 풍력도 문제지만 잇달은 화재로 인해 투자 위축이 우려되는 ESS와 폭발 우려로 인한 각종 오해에 휩싸인 수소연료전지는 안전성 문제가 명확하게 해결되지 못하면서 위기를 겪고 있다.

다만 인명피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 명확하게 원인을 분석하고 책임소재를 충분히 해결하지 않는다면 수소역시 아무리 안전관리 방안을 발표해도 안전성에 대한 의심을 피할 수 없는 신세가 될 것이 분명하다.

ESS의 경우처럼 정부의 지침대로 가동설비를 운영해 왔음에도 또다시 사고가 발생해 정부의 안전기준이 미흡하다는 평가가 다시 나온다면 산업 활성화는 물건너간 것이나 다름이 없음을 인지해야 한다.

특히 에너지전환을 위한 정책을 한번 시작한 이상 계획대로 추진하려는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

사고가 날 위험성이 높아 산업성장이 어렵다는 말이 아니라 다시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했다는 명확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실제 재생에너지가 집중 확대되고 있는 유럽의 경우에도 각종 시행착오로 인해 당초 계획했던 것보다 사업이 지연되거나 규모가 줄은 채 진행된 상황이 많다. 하나의 예로 우리나라보다 몇배의 태양광과 풍력을 설치한 중국의 경우에도 전력연계망 부족으로 애써 생산한 에너지를 차단하는 정책까지 도입되는 등 어려움 없이 에너지전환을 이뤄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어려움이 있더라도 이를 개선해나가면서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재생에너지 확대와 인프라 구축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중국이나 유럽은 보여주고 있다. 다음은 우리 차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