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홍수인 기자] 국내 연구진이 전기자동차가 급가속 시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는 원인을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용 차세대 배터리 소재 설계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장원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에너지저장연구단 박사, 김승민 전북분원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박사 공동연구팀은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배터리의 급속한 배터리 사용 시에 전극소재의 변형과 전기화학 성능 저하 정도를 규명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최근 전기자동차가 주목받으면서 동력원인 리튬이온전지의 우수한 성능 및 수명을 유지하는 것에 관심이 뜨겁다. 이것의 핵심은 전지의 성능(에너지밀도) 저하가 없는 고출력 장수명의 전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는 기존의 소형 리튬이온전지와는 다르게 급가속 등 고출력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해야 한다.

고출력으로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하면 전지가 급속도로 방전되게 된다. 급속하게 충·방전되는 조건에서는 완속 충·방전 시에 얻을 수 있는 전지의 용량보다 훨씬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고출력의 충·방전의 반복은 결국 리튬전지의 수명을 크게 감소시켜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다.

KIST 장원영 박사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3원계(Ni, Co, Mn) 양극(+) 물질소재를 분석해 리튬이온전지를 급속으로 충전할 때 일어나는 전지의 성능 저하를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한 바 있다.

이번에는 다른 양극 물질인 ‘하이-니켈계 소재(NCA)’를 분석해 배터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빠르게 방전될 때 일어나는 성능 저하를 규명했다.

KIST 연구진은 리튬이온전지의 급속 충·방전 등 전기차의 다양한 주행환경에서 작동 오류 및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전극 소재의 변형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다양한 투과전자현미경 분석기법(고분해능 이미징 기법, 전자에너지 분광분석법, 전자회절 분석법 등)을 활용해 각각 마이크로·나노 스케일에서 전극 구조를 관찰·분석했다.
 
이를 통해 급가속 등의 빠른 속도의 방전 현상은 양극으로 전달되는 리튬이온의 양을 제한하며 불완전하게 회복된 전극 물질의 내부 변형이 결국 전지 용량 감소와 수명 단축의 요인임을 밝혔다.

특히 고용량 사용을 위해 고전압으로 충·방전을 하게 되면 이러한 전극 구조의 불안정성은 더욱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KIST 연구진은 성능 저하로 이어지는 전극 내부구조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초기변화를 다양한 범위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지 소재의 성능 저하 분석 플랫폼을 확립했고 전지 소재의 성능 저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장원영 KIST 박사는 “본 연구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급가속 시 불규칙한 전지 소재 내부 변형으로 인한 배터리 성능 저하 메커니즘을 밝혀냈다”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급가속 시에도 배터리의 성능에 문제가 없는 안정한 배터리 소재 개발을 위해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