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병인 기자

[투데이에너지]겨울철에 접어들면서 핸드폰이 시끄럽게 울리는일이 잦아지기 시작했다. 미세먼지 ‘나쁨' 수치가 발효되는 날이 많아져 미세먼지 저감조치 관련 긴급재난문자가 수시로 발송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발효되면 가장먼저 수행되는 것이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이다. 그만큼 경유차들은 미세먼지 사태의 주범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는 전기, 수소차의 경우에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비판적인 목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다.

특히 수소 충전과 관련해서는 기술적인 부분이나 관련 법률, 안전규정 조차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인프라 확대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환경성이 떨어지는 경유나 아직은 기술력이 부족한 전기, 수소에 비해 CNG연료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CNG는 이미 오래전부터 수송시장에서 꾸준히 활용돼온 검증된 연료다. 여기에 CNG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을 경유에 비해 훨씬 적게 유발하는 등 친환경성도 검증됐다.

여기에 CNG충전소들은 향후 수소시장이 확대되면 메탄(CH₄)을 개질해 수소(H₂)를 생산하는 CNG-수소융복합 충전소로 개조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이처럼 CNG는 수많은 장점으로 무장했지만 정부의 무관심 속에 시장확대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아직 기술력이 부족하지만 각종 지원정책이 진행되고 있는 수소, 전기차와 비교된다.

‘상선약수’라는 말이 있다. 물 흐르듯 흘러가는 것이 최고라는 뜻이다. 신재생에너지로의 급진적인 변화보다는 브릿지 연료로써의 CNG의 역할을 강화해 자연스럽게 전환되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CNG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기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