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류희선 기자] “파리협정 이행합의 불발원인은 국가간의 정치적 견해대립 문제다”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는  20일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에서 기후변화센터 등이 주최한 ‘제2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 결과와 향후 전망’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이번 COP25가 2일간의 연장에도 불구하고 최대 목표였던 파리협정 이행규칙 제6조 시장지침 채택 합의 도출에 실패한 점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라며 “합의 불발은 국가간의 첨예한 시각과 입장 대립 때문”이라고 전했다.

특히 유 대사는 불발 원인에 대해 “대체로 기술적 쟁점과 정치적 쟁점으로 나뉘는데 국가간의 정치적 쟁점 작용했다”고 밝혔다.

이에 유 대사는 “개도국은 Pre-2020 선진국의 2020년까지의 감축 및 재원공약 달성을 평가하는 2년 단위 작업 프로그램 설립을 강하게 주장한 반면 선진국은 그렇지 않았고 Post-2020 장기재원에서 선진국은 COP19 결정문에 따라 2020년까지만 COP에서 논의 후 파리협정 당사국회의(CMA)로 논의 이관을 주장했다”라며 의견 대치를 설명했다.

이어 유 대사는 “손실과 피해를 다루는 매커니즘에 대한 검토는 마쳤지만 기후변화 취약국에 대한 재원 지원방식을 놓고는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대립이 심화돼 구체적인 방식은 명시하지 못하고 종료됐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유 대사는 파리협정 국제적 추세에 대해 “미국이 파리협정 탈퇴선언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후협약체제는 지속가능한 체제로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대응 및 파리협정의 이행을 위해 착실히 준비하고 있다”라며 “미국의 리더십 부재에 맞서 적극 공조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유 대사는 “구체제인 교토의정서와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신체제인 파리협정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넘어가며 새로운 체제를 모색하고 있다”라며 “구체제와 달리 신체제는 선진국만이 아닌 모든 당사국이 자발적 공약으로 참여하는 더 큰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이를 위한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유 대사는 “2020년에 시장 규칙 합의 하면서 유럽에서 개최되는 COP26에서는 합의 도출 해내기를 바라며 다자주의 지속을 위한 기후협상에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도모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끝으로 유 대사는 “COP25에서 결과 도출엔 실패했지만 우리나라 대표단은 많은 성과를 얻었다”라며 “기후협약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최초 연락사무소 한국 유치에 성공해 내년 송도에 유치할 예정이며 사무국측의 가장 큰 관심사인 SBI 의제19 회의 주제 및 선진국과 개도국 국가간의 협상 타결을 성공시키며 향후 사무국과 협력기반을 마련하는 큰 성과를 얻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