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인 솔레이마니에 대한 미군의 공습 사살 이후 중동지역의 정세가 급변하고 있다.

셰일가스 개발 이후 중동지역에 대한 석유와 LNG, LPG 수입 의존도가 크게 낮아졌지만 에너지 수급에 대한 불안감이 커짐에 따라 정부에서도 수급 및 가격 동향을 긴급 점검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와 석유공사, 업계 등으로 구성된 석유수급 상황실을 운영해 수급상황은 물론 가격변동에 대한 일일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실제 수급 위기가 발생할 경우 약 2억배럴 규모의 비축유를 방출하겠다는 방향까지 제시했다.

국제 정세 변화에 따른 에너지 가격 변동과 수급 차질이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단계가 되면 심각한 상황으로 연결될 수 있어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인 셈이다.

지난해 4월 미국의 이란 수입 예외조치 중단 발표 이후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서 유조선이 피격되고 사우디 석유시설에 대한 드론 테러 등과 같은 갈등이 가라앉지 않고 불안 요인이 되고 있어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되돌아보고 근본적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된다.

그 필요성은 한일관계 악화에 따른 수출규제 문제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필요한 기초 소재•부품을 시설과 많은 투자비를 들이지 않고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구입해왔었지만 일본의 기습적인 수출규제 후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왔던 반도체 등 관련 산업의 피해에 대한 우려가 고조됐기 때문이다.

원천 기술과 핵심 부품에 대한 자립도가 높지 않았기 때문이고 양국 관계가 악화될 것이라는 상황에 대한 의구심이 없었기 때문에 대비책도 사실상 마련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 자원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필요할 때 사오면 되지만 살 수 없는 상황이 됐을 때에는 국내 경제는 마비상태에 빠질 수밖에 없다.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 자원에 대한 강대국간 마찰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해외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7%에 달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 안보에 대한 전략적 접근과 다양화를 통해 위험도를 낮춰 나가야 된다. 앞선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실패를 거울삼아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리스크를 줄이는 것은 몰라도 아예 손을 놓고 등한시할 때 발생할 위험성은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살펴 보고 근본적 해법과 대책 마련을 점진적으로 강구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