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홍수인 기자]수소충전소 보급사업이 정부의 목표에 비해 속도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월 관계부처가 합동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고 10월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방안을 제시했다.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수소충전소 보급은 주요도시 68개, 고속도로 및 환승센터 18개로 총 누적 목표는 86개다. 그러나 지난해까지 운영을 시작한 수소충전소는 연구용을 포함해 총 34개, 착공을 시작한 곳은 20개로 총 54개가 운영·착공 중이다. 착공 중인 것을 포함하더라도 지난해 목표보다 32개가 부족하다.

로드맵에 따라 2022년까지 총 310기를 구축하기 위한 올해의 계획은 신규 81개(버스 충전소18개 포함)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올해의 신규 목표를 달성하더라도 2022년까지 310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속도를 더 내야한다.

지난해 수소충전소 구축이 지연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경제성이다. 수소충전소 구축 비용을 정부에서 50%를 지원 받는다고 해도 약 15억원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수소차 보급대수는 5,097대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아직은 활성화 되지 않아 원가가 비싼 수소를 팔며 이용자가 적은 수소충전소를 운영하기에는 큰 부담이 있다. 이에 올해 수소충전소 구축 지원 예산으로 환경부가 전년대비 855억원 증가한 951억원, 국토부가 55억원 증가한 130억원을 편성했다. 하지만 정부는 수소충전소 구축 초기에는 구축 목표달성을 위해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그 다음은 까다로운 부지선정 조건이다. 수소충전소를 건설하기 위해 수소충전소 구축이 가능한 단독 부지 면적은 약 991m²(300평) 이상이어야 한다. 이와 함께 △공동주택과 수평거리 25m △어린이놀이터, 보육시설, 유치원, 경로당, 의료시설과 수평거리 50m △학교 출입문으로 부터 직선거리로 50m 이내 이외에도 여러가지 규제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수소충전소를 지을 수 없다. 특히나 땅값이 비싼 도심에서 991m2(300평)이상의 부지와 안전상의 규제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부지를 확보하는 일이 만만치 않아보인다.

이러한 기준을 만족시키더라도 주민 수용성 문제가 남는다. 지난해 수소충전소 부지선정이 완료된 후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낯선 수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은 지난해 발생한 강원TP 수소저장탱크 폭발사고, 노르웨이 수소충전소 화재사건 등 2건의 사고에 불안감은 더욱 커졌다.

실제로 주민을 설득하는 과정이 길어져 수소충전소 구축이 무산되거나 무기한 연기된 사례도 발생됐다. 이에 정부는 올해부터 수소경제 홍보 전탐 T/F팀을 구성해 수소충전소·수소차 등을 포함한 수소에너지에 대해서 주민들의 인식제고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한편 올해까지 수소충전소 누적목표 167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113개가 신규로 착공을 시작해야 한다. 올해에도 수소충전소 보급이 미뤄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내년 누적 목표인 237개 달성은 더욱 어려워진다. 이렇게 되면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에 따른 수소경제 이행이 차질을 빚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