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미국은 물론 중국, 일본 주요 국가들의 경제지표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는 사태를 맞고 있다.

얼마나 빠르게 회복하느냐 만큼이나 어떻게 불확실한 환경에 대응하는가도 중요한 과제로 부상되는 실정인 셈이다.

국제 사회에 번지고 있는 코로나19 전세계 에너지시장에서 석유와 가스 탄소시대가 사실상 막을 내릴 것을 재촉하고 수소시대로의 대전환의 촉진시키는 계기가 것이라는 시각도 없지 않다.

남극 또는 북극의 얼음이 녹고 세계 각국에서 발생하는 이상기온과 코로나19 같은 질병은 지구 온난화에 원인을 찾고 있기도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서둘러 줄여야 필요성이 높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정국은 경쟁력을 잃은 기업의 도태로 산업 구조조정을 가속화시킬 우려가 크다.

비접촉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커지며 홈코노미, 재택경제 새로운 소비영역이 드러나며 건강 관련 제품, 제약바이오산업이 부상되지만 자동차, 건설 석유를 비롯한 에너지산업의 위축이 우려되고 있다.

러시아와 사우디간 유가 분쟁, 코로나19 인한 시장 불확실성은 유가 하락에 타격을 입은 미국 오일기업을 위협하고 있다.

신규 유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평균 유가는 배럴당 50달러로 현재 23~36달러 수준의 유가로는 운영비조차 충당할 없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국내 정유업계는 때문에 2 석유파동 뒤인 1979년부터 석유수입업자에게 징수 조성한 1995년부터 석유수입부과금으로 전환한 수입부과금을 낮춰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형평성 차원에서 LPG에도 이를 부과하거나 부산물로 생산된 LPG 대해 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로서는 파급효과가 크지 않아 고민이 적지 않다는 설명이다.

충전, LPG판매업계도 주요 거래처인 음식점이나 택시 LPG수요 감소로 겪고 있는 어려움을 덜기 위해 공장도 가격 인하 건의를 비롯해 특별재난지역에 대한 LPG 도시가스 요금 감면 여러 방안을 놓고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기업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책이나 세금감면은 결국 국민들의 부담으로 돌아가는 만큼 종합적이면서도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 정부가 올바른 처방전을 만들고 내놓을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