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패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정부가 출범 3주년을 맞아 조만간 발표할 것으로 알려진 ‘한국판 뉴딜’ 구상에 에너지전환을 골자로 하는 그린뉴딜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국회 김성환 의원과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에너지전환포럼 등이 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주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그린뉴딜’ 토론회에서 홍종호 에너지전환포럼 상임공동대표(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그린뉴딜의 핵심은 에너지전환에 있으며 공항, 도로처럼 전통 SOC투자, 회색부양이 아닌 녹색부양을 해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홍종호 대표는 “돈을 쓰는 것이 불가피하다면 어디에 쓸 것인지, 경기를 되돌리고 일자리, 기업회생,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해야 하는데 키워드는 에너지다”라며 “에너지전환은 엄청난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혁신이 안된 분야인 에너지는 오히려 디지털뉴딜이나 바이오뉴딜과도 융합이 잘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홍 대표는 “당장 추경에 에너지를 반영한다면 에너지효율과 재생에너지가 포함돼야 하며 발전사업허가가 난 풍력발전만 10GW”라며 “전세계 자동차산업 일자리가 5,000만개인데 이미 재생에너지 일자리가 1,000만개로 재생에너지 100%로 갈 경우 자동차산업 고용규모(49만명) 이상인 50만개의 일자리도 가능하며 이는 원자력 고용의 10배 이상”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최악의 경제위기인만큼 구조조정은 필수며 지구환경을 파괴하는 산업과 구조적 사양산업은 정리하고 한국형 뉴딜은 에너지전환적 뉴딜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유종일 KDI 국제정책대학원 원장은 “사람중심의 경제민주화, 포용적 디지털 전환, 혁신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경제를 만드는 게 그린뉴딜”이라며 “기후악당국가 한국이 포스트 코로나의 세계 표준이 될 수 없으며 소극적 환경정책을 탈피하고 그린뉴딜을 포스트 코로나 경제재건의 주축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은 “기후위기와 불평등이 그린뉴딜의 핵심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경제사회 대전환정책이 돼야 하며 유럽 사례를 보면 탄소국경세나 기후장벽이 생각보다 빨리 올 확률이 높다”라며 “그린뉴딜은 작은 사업 정도가 아니라 경제사회구조 전반을 탈탄소로 바꾸는 것으로 이제부터 한국사회의 그린뉴딜 정의를 내리고 범주를 잡아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