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병인 기자] 최근 친환경성이 국제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음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대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운송분야에서 휘발유, 경유 등 화석연료에서 수소, 전기차 전환이 추진되고 있는가 하면 발전분야에서도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석탄, 석유발전 대신 LNG발전으로 전환되고 있다.

해상에서도 마찬가지다. 올해부터 ‘IMO 2020’이 발효됨에 따라 선박에 대한 환경규제가 한층 더 강해졌다.

친환경적인 LNG추진선이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해외에서는 LNG추진선에 LNG를 급유하는 산업인 LNG벙커링산업도 같이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경제성이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아직 LNG벙커링산업이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이에 LNG벙커링산업의 경제성은 어떤지 현 상황을 짚어보고 향후 확보방안은 무엇인지 알아봤다. /편집자 주

■ IMO 2020 발효에 LNG추진선 증가세
IMO 2020은 선박들이 사용하는 연료유 내 황 함유 기준량이 3.5%에서 0.5%로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에 따라 각 선사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저렴한 고유황유(HFO: Heavy Fuel Oil) 대신 황함량을 감축시킬 몇 가지 옵션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상대적으로 비싼 저유황유를 쓰거나 ‘스크러버’라고 불리는 값비싼 탈황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방법은 투자금대비 환경개선효과가 뚜렷하지 않고 유지비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 국제적으로 해상 환경규제를 강화하는 추세 속에서 향후 황함량뿐만 아니라 질소산화물, CO₂ 등 다른 배출가스 기준도 강화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가 어렵다는 것도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각 선사들은 LNG추진선을 주목하고 있다. 관련연구에 따르면 LNG는 황산화물을 거의 배출하지 않는데다 질소산화물은 유류대비 40~70%, CO₂는 유류대비 25% 적게 배출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셰일가스 증산으로 인해 국제 LNG가격이 폭락하면서 구매자 위주의 시장으로 재편됐다는 점도 장점이다. 타 연료대비 가격경쟁력도 LNG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세계시장에서 LNG추진선은 증가추세에 있는데 세계적인 선급회사 DNV-GL에 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 운항 중인 LNG추진선은 150척, 발주가 확정된 LNG추진선은 138척으로 10년 전인 2010년 운항 중인 LNG추진선이 21척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급증세에 있다.

DNV-GL은 운항 중인 LNG추진선 150척, 발주예정인 LNG추진선 138척, LNG연료전환선박 139척 등 오는 2026년에는 운항 중인 LNG추진선이 427척으로 약 3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 LNG추진선 증가에 급부상하는 LNG벙커링산업
DNV-GL에 따르면 2018년 4월 기준 유럽은 운영 중인 LNG벙커링 터미널은 26개소, 건설이 결정된 LNG벙커링 터미널은 12개소이며 건설을 논의 중인 LNG벙커링 터미널은 26개소다.

타입별로 보면 지역 저장시설 타입이 운영 중인 곳이 47개소로 나타나 가장 많았고 트럭 선적타입(43개소), Tank-to-ship 타입(29개소), 선박타입(14개소), 기타(2개소) 등으로 뒤를 이었다.

해외에서는 LNG벙커링산업을 국가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사례도 많았다.

유럽의 경우에는 적극적인 LNG벙커링 지원정책으로 LNG벙커링선박, 벙커링인프라 투자를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각 EU회원국에 각국 별로 최소 1개 이상의 LNG벙커링 항구를 보유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2025년까지 LNG벙커링 인프라를 갖춘 항구 건설을 위한 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또한 항구도시는 2025년까지, 내륙항의 경우에는 2030년까지 최소한의 LNG추진선 급유설비 설치 의무화를 추진 중에 있다.

이른바 ‘항만강국’으로 알려져 있는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해 LNG벙커링 산업 활성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LNG벙커링사업을 추진하는 업체에게 친환경 선박에 대한 등록비 최대 75%를 공제하고 중량세는 최대 50%를 보조해주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내 항만을 이용하는 친환경선박에 이용료 최대 25% 할인을 적용해준다.

또한 LNG추진선을 건조할 시 선박당 200만SGD(한화 약 17억원)을 지원하는 등 적극적으로 LNG선박 관련 산업을 장려하고 있다.

옆나라 일본의 경우에는 지난 2016년 요코하마항을 LNG벙커링 거점으로 육성하는 로드맵을 수립했다.

1단계에서는 Truck-to-ship 벙커링방식으로 운영해왔으며 2단계가 실시되는 올해부터는 LNG벙커링선을 활용한 Ship-to-ship사업비 60억엔(한화 약 670억원) 확보할 계획이다.

■ 국내 수요량, 얼마나 늘어날까
향후 전세계 LNG벙커링 수요량은 점차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인 IHS에 따르면 2020년 1,000만톤이었던 세계 LNG벙커링 수요량은 오는 2030년에는 2,100만~2,760만톤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국내의 한 관련연구기관에서는 Top-Down방식(하향식), Bottom-Up방식(상향식) 두 가지 방식으로 LNG벙커링 수요량을 예측했다.

Top-Down방식은 세계 LNG벙커링 수요전망 자료를 참고로 세계 석유 벙커링 소비량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해 석유가 LNG로 전환되는 정도를 분석해 예측한 것이다.

Bottom Up방식은 국내 주요항구인 인천, 평택, 부산, 울산, 포항의 1년간 석유 추진선박 입출항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선박들의 선령과 총톤수를 계산해 LNG벙커링 수요량을 전망한 것이다.

연구기관에서는 지난 2018년 4월 IMO가 CO₂와 관련해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향후 해상 환경규제도 황뿐만 아니라 CO₂도 규제대상이 될 확률이 높으며 이에 따라 저유황유, 탈황장비 설치보다는 선사들이 LNG추진선 전환을 가장 높은 가능성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Top-Down방식으로 분석할 때 국내 LNG벙커링 수요량은 2030년에는 연간 136만톤, 2040년에는 연간 343만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Bottom-Up방식으로 분석할 때에는 국내 LNG벙커링 수요량이 2030년에는 연간 184만톤, 2040년에는 연간 505만톤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두 방식을 절충해 국내 LNG벙커링 수요량을 계산했을 때는 2030년에는 연간 123만톤, 2040년에는 연간 337~343만톤 가량 될 것으로 예측했다.

■ 우리나라, LNG벙커링 시장 확대 유리
앞서 설명했듯 강화된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3가지 방안이 존재하는데 바로 저유황유 사용, 고유황유에 탈황장비 부착, LNG추진선 전환이다.

이 세 가지 방안을 건조비, 연료비, 유지 및 운영비, 공급비 등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LNG추진선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탈황장비를 설치하는 방안의 경우 스크러버의 슬러지 처리, 검사 및 수리, 성능체크 등 관련 유지비용에 많은 금액이 소요돼 저유황유, LNG추진선 전환보다 불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저유황유를 사용하는 경우 연료비 측면에서 초기에는 LNG보다 저유황유가 저렴할 수 있겠으나 LNG벙커링 수요가 증가하면서 유류 벙커링 공급비용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여건상으로도 우리나라는 타국보다 LNG벙커링산업을 발전시키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먼저 LNG터미널 규모 세계 2위를 자랑하는 등 최고수준의 LNG인프라를 자랑하고 있으며 컨테이너 처리 규모 기준 전세계 6위에 해당하는 부산항이 존재한다.

또한 앞선 우리나라의 조선산업 기술력을 바탕으로 LNG추진선을 꾸준히 발주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다만 벙커링산업 자체가 우리나라는 상당히 미숙한 시장인 점 때문에 LNG벙커링산업을 발전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기관에서는 우리나라는 LNG벙커링산업을 발전시키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것은 맞지만 불확실성도 존재해 확실한 규정을 세워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친환경차량지원 사례를 참고해 친환경선박에 대한 지원대책도 수립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즉 LNG벙커링산업은 성장가능성이 높지만 이를 부양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향후 정부에서도 LNG벙커링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이 수립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