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최근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 결과를 보면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배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발전부분의 관리 강화와 노후 차량 신체 교체 효과, 무연탄 사용량 감소가 주 원인으로 파악됐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지역별 증감을 살펴보면 연료(중유, 경유 등) 사용량 감소 및 사업장 관리 강화 등의 요인으로 충남, 전남, 경북의 초미세먼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의 배출량은 감소했다.

특히 발전5사는 전체 발전시설에서 나오는 대기오염물질의 80% 이상을 배출하고 있는 가운데 오는 2025년까지 발전소 가동 시 미세먼지 유발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대기오염 방지시설 개선에 3조2,000억원(투자총액의 약 70%)을 집중 투자한다.

또한 통합환경허가를 이행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총 4조6,000억원을 환경설비 개선에 투자하기로 했으며 이를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2019년대비 연간 7만4,000톤(약 45%) 저감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그동안 야외 보관하던 석탄 보관장을 옥내화해 날림먼지를 저감하는데 1조3,000억원, 일부 사업장에서 발전연료로 사용하던 중유 등을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에 700억원 그 외 폐수 재이용시스템 구축 등에도 600억원을 투자한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만으로는 아직 갈길이 멀다. 정부간의 각 부처 경계를 넘어 종합적으로 다뤄 나갈 수 있는 환경정책 및 여건을 서둘러 마련해야 될 필요성이 높은 이유다. 

일부에서는 정부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미세먼지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국제적으로 기후변화 문제가 떠오르면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에 치중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면 미세먼지 관리대책에 치중하는 모습이 나오고 있는데 이는 정책을 추진하는데 올바른 모습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 등 주변 국가의 영향 등으로 미세먼지 관리에 어려운 부분이 있어 미세먼지 문제를 단번에 해결하기 힘들다.

정확한 미세먼지 발생원인 규명과 대책을 재점검 하고 중·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한 것이다.

최근 그린뉴딜이 이슈화 되고 있는 가운데 공공시설에 대한 과감한 환경투자 등 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에 미세먼지 저감을 주도하는 그린뉴딜을 반영시켜 나가길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