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국내 태양광산업계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태양광모듈 탄소배출량 인증제도가 본격 시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태양광 탄소인증제 운영고시 및 세부 산정・검증기준 제정을 완료하고 22일부터 태양광모듈에 대한 탄소배출량 검증신청 접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해 발표한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의 핵심과제로 탄소인증제 시행을 예고했고 이후 정책연구용역(2019년 4~12월), 사전검증(4~6월) 및 의견수렴(공청회, 설명회) 등을 통해 제도시행기반을 마련했다.

태양광 탄소인증제는 태양광모듈 제조 전과정(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에서 배출되는 단위출력당(1kW) 온실가스의 총량을 계량화(CO₂·kg)하고 검증하는 제도로서 온실가스 총량은 태양광 모듈 제조과정에서 직접 발생되는 배출량(N₂O, CO₂ 등)과 소비된 전력생산을 위한 배출량을 합산해 평가한다.

산업부는 이번에 시행되는 태양광모듈 탄소인증제를 통해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내 태양광 산업계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설치되는 태양광모듈당 10%의 CO₂를 감축할 경우 연간 약 23만톤의  CO₂감축이 가능하다.

이번 인증제를 통해 글로벌 친환경 시장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프랑스에서는 이미 탄소인증제와 유사한 탄소발자국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EU에서도 유사제도를 도입할 계획임에 따라 국내 시행을 통해 우리 기업들은 탄소배출량 저감에 대한 경험과 기술 등을 축적해 해외시장 진출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번 인증제로 저탄소 공정시스템 및 고출력 모듈 개발을 유도할 수도 있게 됐다. 산업부는 모듈 제조과정에서 에너지 투입량(전력, 연료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정시스템 개발을 통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탄소배출량 산정에 유리(단위출력당 탄소배출량을 평가)한 고출력·고효율 모듈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국내 태양광 모듈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도 기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동일용량 태양광 설치시 모듈 효율 1%p 증가에 따라 토지면적이 약 4∼6%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급선 다변화를 통한 소재·부품 수급 리스크 대응역량도 강화한다.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해 국내기업들이 다양한 국가 및 기업에서 생산된 소재·부품들을 테스트 또는 활용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코로나19 등과 같은 소재·부품 수급 리스크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대응역량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국내 태양광 시장에 저탄소 태양광 모듈 활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탄소배출량에 따라 모듈을 3개 등급으로 구분해 올해 하반기에 시행될 RPS 선정입찰시장 및 정부보급사업 등에서 등급별로 차등화된 인센티브를 적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태양광모듈의 친환경성을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시장상황 등을 고려해 등급별 탄소배출량 기준을 단계적으로 상향할 계획이다.

저탄소 태양광모듈에 대한 인센티브 적용방안은 하반기 RPS 선정입찰 및 정부보급사업 등 공고(8월 예정)시 확정해 안내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