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인 기자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기자] 통상 LPG사업은 해외에서 도입해 LPG차, 산업체나 음식점, 일반 주택 등 영세 서민들에게 공급하는 것으로 비교적 단순하다.

상대적으로 막대한 투자비가 들지 않고 인력도 그렇게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LPG를 땅짚고 헤엄치는 사업이라고 평가절하 하기도 한다. 정부 정책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

LPG자동차 보급도 그렇고 미래 먹거리로 꼽히고 있는 LPG선박 개발도 그렇다.

부산시가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받으면서 LPG선박을 개발하는 사업도 정부의 정책적 필요에 따라 추진하지만 반사적 이익만 누릴려고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심어린 시선도 없지 않다.

여객선과 같은 2만톤급 LPG선 1대는 연간 1만톤을 넘는 LPG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소형 선박 1대는 연간 50~100톤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돼 침체될 LPG산업의 새로운 먹거리인 셈이다.

정작 LPG업계에서는 성과 챙기기에 급급하다. LPG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을 뛰어넘어 재도약의 길을 찾기 위해 투자와 연구 등에 뛰어들기보다 정책적 혜택만을 누리려고 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스럽다.

전기와 수소차에 정부의 중점적 정책이 집중돼 있는 시기에 중소형 LPG선박은 LPG업계로서는 중요한 화두가 아닐 수 없다.

LPG를 기반으로 한 발전적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존 틀과 영업 방식 등을 과감히 벗어나야 하며 만일 이를 버리지 못하면 좋은 기회를 잃어버리고 후회만 하는 과오를 범하게 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지난 1980년대 도시가스가 공급되기 전만하더라도 LPG업계에는 발전 가능성은 물론 새로운 사업에 대한 투자 기회도 많았을 때처럼 기회를 잃고 후회하는 우를 범하지 않길 바랄 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