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홍시현 기자] 한국 제조장비산업이 반도체·디스플레이 중심으로 성장한 가운데 최근 산업용 로봇도 빠른 성장을 보여 분야별 맞춤형 과제와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상진, 이하 기계연) 기계기술정책센터는 곽기호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2일 발간한 기계기술정책 100호 ‘우리나라 제조장비기업의 성장·혁신·수익 패턴 분석과 시사점’을 통해 반도체·디스플레이와 산업용 로봇, 공작기계 등 산업분야에 따라 성장 패턴이 확연히 다르게 나타나 분야별 맞춤형 과제와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구팀은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공작기계, 산업용 로봇 등 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19년 간(2000~2018년)의 성장·혁신·수익 패턴을 분석한 결과 반도체·디스플레이산업은 급격한 성장을 보인 반면 공작기계산업은 2010년 이후 성장 정체에 머무른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용 로봇의 경우 최근 성장세를 보였지만 절대 규모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산업의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이질적인 성장이 나타난 원인 중 하나로 R&D 투자 패턴의 차이가 확인됐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산업의 경우 2018년 R&D 집약도(매출액대비 R&D 투자금액)가 3.8%에 달한 반면 공작기계과 산업용 로봇은 각각 1.6%, 2.5%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작기계는  산업 전체적으로 저수익 현상이 굳어지고 있어 수익 창출에 기반을 둔 R&D 투자와 고용 창출의 선순환 체계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제조장비산업 육성을 위한 과제로 △전략적 기업군 발굴 및 육성 △M&A 장려정책으로 글로벌 히든 챔피언 창출 △스타트업 육성 및 고용 지원정책으로 일자리 창출 △출연연의 지역기업 지원역량 강화를 토대로 비수도권 지역의 혁신역량과 수익성 제고 등을 제시했다.

박상진 기계연 원장은 “주요 제조장비산업 내 기업 수준의 성장·혁신·수익 패턴에 따라 산업별 당면 과제와 맞춤형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라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의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 공헌하고 국민의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정책 개발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기계연구원은 기계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전문지식지 ‘기계기술정책’을 매년 4회 이상 발간하고 있으며 기계분야 국책연구기관으로서 싱크탱크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기계기술정책은 기계연 홈페이지에서 정기구독 신청 및 내려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