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병인 기자] 지하매설물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부식방식학회 등 3개 기관은 21일 공동으로 ‘부식환경 지하매설물 스마트 통합 안전관리체계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서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강원 서울공간정보 대표는 시설 노후화, 굴착공사, 싱크홀 등 지하매설물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도시미관, 유지관리 용이성으로 인해 전기, 가스,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하시설물이 집중화 돼있다.

하지만 건설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거나 부정확한 자료로 인한 훼손 및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하시설물들의 지속적인 노후화, 부식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반침하(싱크홀)에 의해 지하시설물 파괴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상수도관 사고원인으로 시설노후로 인한 사고가 87.3%인 것으로 조사됐고 하수도관의 경우에는 시공불량(30%)이 사고발생 원인인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가스 등 파이프라인의 경우에는 굴착손상(21.8%), 자재 및 용접 결함(20.5%)의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지하매설물의 사고원인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사고 예방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하에 있어 탐지가 어렵기 때문에 정보가 부족하거나 잘못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지하인프라의 위치정보의 품질 개선을 위한 표준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하인프라 위치정보 표준은 미국, 프랑스, 호주, 캐나다 등 선진국들은 이미 적용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의 경우에는 2012년 중요 지하시설물을 40cm 이내의 정확도와 3D 지도화 등 지하매설물 정보 고도화 표준제정을 대통령령으로 발표했다.

이에 지하시설물은 3가지의 품질 등급으로 지도가 제작됐으며 도시지역은 2019년 1월1일까지 40cm 이내로 지하시설물 지도화가 완료됐으며 지하시설물 소유자와 계약자 간의 책임공유에 대한 명시하도록 규정했다.

영국, 캐나다, 싱가포르의 경우에도 지하매설물 정보 고도화를 위한 각종 표준을 마련해 적용하고 있다.

최첨단장비 도입을 통한 탐사도 중요하다. 스마트폰과 결합한 지하시설물 탐사장비, 증강현실을 통한 지하시설물 탐사 등 사례는 많다.

이처럼 수집된 정보를 통합해 정확한 지하정보를 보유하고 있어야 지하매설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통해 향후 지하매설물 안전관리가 한층 더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포럼에서 두번째 발제자로 나선 장용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정보활용지원센터장은 지하공간통합지도에 대해 소개했다.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지하를 개발, 이용,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지하정보를 종합한 것으로 지도에는 지하시설물정보, 지하구조물정보, 지반정보가 포함된다.

먼저 지하시설물 정보는 지하공간에 매설돼 있는 7대 지하시설물(상수도, 하수도, 통신, 난방,송유, 전력, 가스) 중 송유관 정보를 제외한 6종의 정보를 의미한다.

지하구조물정보는 지표면 아래 구축되는 지하철, 공동구, 지하상가, 지하도로, 지하보도, 지하주차장 등 6개의 시설구조물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지반정보의 경우에는 지하지층(토층, 암층)에 관한 시추, 지질, 관정, 광산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며 이중 통합지도에 포함되는 정보는 시추, 지질, 관정 등이다.

이외에도 지도에 포함되는 정보는 항공사진, 지형, 3차원 건물 등 지상정보와 광물자원분포도, 지진발생위치도, 급경사지분포도, 도로함몰지도 등 지표면 정보도 포함된다.

지하안전영향평가, 지반침하위험도 평가에 지하공간통합지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지하안전법을 개정해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에게 지하시설물도 작성 의무화, 정확도 개선계획 마련 및 시행, 개선결과 공유 등 책임강화 등을 시행할 계획이다.

과기부, 산업부, 환경부 등 소관부처와 연계해 소속 관리기관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을 지도하고 필요시 정확도 개선사업 시행을 위한 자금, 기술지원 근거도 마련한다.

굴착공사시 노출되는 주변 지하매설물에 대해서도 관리기관이 측량, 확인토록 의무화해 지하공간DB에 대한 종합검증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