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MB정부의 해외자원개발 실패가 남긴 후유증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나 석유공사의 경영정상화가 난망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신정훈 의원 (나주화순, 더불어민주당,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국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MB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사업 실패로 부채비율이 치솟은 것으로 드러났다. 2008년 73.3%였던 부채비율은 2014년 221.3%, 2017년 718.5%, 2018년 2287.1%, 2019년 3415.5%로 급격히 상승했다. 2008년 326억이었던 이자비용도 2011년 이후 연간 4,000억원 규모로 치솟아 2008년부터 2019년까지 이자비용만 무려 4조3,429억원에 달했다.
 
지난 2008년부터 올해까지 석유공사는 총 28개의 해외 석유개발사업을 추진했다. 해당 기간 누적 투자액은 약 154억5,930만불에 달했으나 3,998백만불을 회수하는데 그쳐 투자액 대비 회수액 비율은 단 25.9%에 그쳤다. 

또한 28개 사업 중 16개 사업의 회수액이 전무했으며 이 중 올해 시작한 UAE ADNOC Onshore 사업을 제외하면 모두 2008년~2013년에 사업 시작연도가 집중돼 있다. 구체적으로는 △콜롬비아 CPE 7, CPO2, CPO3 △이라크 Sangaw south, QushTappa, SangawNorth △미국 Martha, VR 317, EI278, Old Home, River Bend, Parallel, Northstar △우즈벡 West Fergana & Chinabad) △말레이시아 Block2B 사업이다. 

투자액이 큰 주요 사업별 상황을 살펴보면 해당 기간 누적 투자액이 49억5,700만불로 가장 컸던 영국 Dana 사업은 22만2,500만불을 회수(45%)한 반면 캐나다 Harvest는 40억8,000만불을 투자했으나 단 3,400만불을 회수(1%)하는데 그쳐 완전히 실패했다.   

한편 석유공사는 지난 2018년 정부의 제1차 해외자원개발TF 결과 및 수익성-전략성 가치 분석에 따라 비핵심자산을 대상으로 자산합리화를 지속 추진 중에 있다.
 
신정훈 의원은 “저유가가 지속됨에 따라 매각 대상 자산의 시장가치가 크게 하락했을 뿐 아니라 재무여건이 악화된 E&P 기업의 저가 매물 증가로 매수자 우위시장이 형성되어 매각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어 신정훈 의원은 “부실자산 매각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세우고, 목표 달성을 위한 면밀한 상황 점검이 수시로 이뤄져야 한다”라며 “시장상황을 고려해 비핵심자산의 탄력적 매각을 추진해 수익성을 제고하고 무엇보다 이자비용 규모를 줄여 나가는데 총력을 기울여 자산관리 효율성을 증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