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미세먼지를 줄이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수소경제가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굳이 기후변화위기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석탄과 석유, LNG와 LPG 등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대신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얻어진 전기를 활용해 수소에너지를 생산 및 사용하는 시기를 앞당겨야 친환경적인 에너지전환이 가능한데 현실은 그렇게 녹록치만 않다.  

수소시대 아니 수소경제를 위해서는 값싼 수소를 생산할 수 있어야 하며 유통 수단인 용기와 저장탱크가 준비돼 있어야 하며 어디서든 편리하게 수소충전이 가능한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

에너지분야 대표 미래먹거리인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는 올해 1,420억원이던 예산을 내년 2,450억원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수소 생산·유통·진흥·안전관리 등 전 분야에 걸쳐 예산투자를 확대해 수소 생산거점을 확충하고 수소 운송장비 구축·수소 전문기업 육성·수소충전소 모니터링 등을 신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그린뉴딜정책’을 적극 추진해 7,200여대의 수소차는 2022년 6만7,000대, 2025년 20만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수소충전소의 경우 10월 현재 51개소에서 2022년 310곳, 2025년 450곳, 2040년 1,200곳을 설치할 예정이지만 인프라 구축은 그렇게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수소충전소를 설치할 곳도 마땅치 않지만 설치가 되더라도 부품 고장에 충전소 운영이 멈추거나 운영 경제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주유소나 충전소 등 기존 시설을 수소충전소로 선뜻 바꾸거나 복합 설치하는 것을 꺼려 공공부지나 휴게소 등을 중심으로 한 설치 확대가 이뤄질 전망이다.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을 통해 얼마나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느냐에 따라 수소경제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정부가 원천기술 확보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구체적이고 세부적 추진방안을 선결할 것을 주문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