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시현 기자
▲홍시현 기자

[투데이에너지 홍시현 기자] 2016년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온실가스의 위기는 전 세계 이슈가 됐다. 

정부도 탄소중립 실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50년까지 개인·회사·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실현 가능성에 여전히 의문을 던진다. 

과연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이 제대로 가고 있는가.     

국내 500대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정부 허용치를 13% 이상을 넘겼다. 특히 대기업 3곳 중 2곳이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을 초과했다. 

정부는 ‘2050 탄소제로’를 목표로 2015년부터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허용량을 각 사업장에 부여해 할당 범위 내에서 배출하고 부족분은 배출권을 사야 한다. 사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노력 여부에 따라 수익을 낼 수도 있고 반대로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환경부는 냉매를 활용한 탄소배출권 외부사업을 국내 최초로 승인됐다. 그동안 온실가스 감축에서 소홀했던 냉매에 대해 정부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 사업은 수출차량에서 HFC-134a 폐냉매를 분해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으로 연간 온실가스 2만5,753tCO₂-ep 감축이 예상된다. 지난 2015년부터 진행한 외부사업으로 연간 3만7,400tCO₂-ep 감축한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많은 감축량이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다. 냉매 외부사업과 같이 조금 더 관심을 가진다면 탄소중립에 대한 의문은 사라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