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규 기자
▲송명규 기자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현재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정부가 나서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사실 논리 자체가 어려운 것은 아니다. 화석연료를 줄이고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집중적으로 늘리면 가능한 부분이다. 

다만 재생에너지가 매년 일정 규모 이상을 설치해야 할 필요성도 높고 그 속도도 빨라져야 하지만 이렇게 설치한 재생에너지들이 각 가정, 산업체 등에서 사용하는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며 그 과정이 쉽고 안정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재생에너지를 위한 전력망 인프라 확대가 재생에너지 확대만큼 중요하다는 점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탄소중립의 성공 여부가 정부의 효율적인 정책에 달렸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국내 에너지소비는 아직까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온실가스 배출은 현재도 증가하는 추세다. 석유, 석탄, 도시가스 등 화석연료가 전체 소비의 75.1%를 차지하는 부분은 둘째치더라도 재생에너지가 급격히 보급이 안정적으로 확산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서는 부분은 여전하다. 

변동성이 높은 재생에너지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도 그 필요성이 매년 강조되지만 아직까지 적극적인 확보 노력은 눈에 띄지 않고 있다.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보를 위한 소비자의 참여와 주민참여형 사업 등 상생방안도 이제 막 시작단계다. 

이외에도 태양광과 풍력, 수소도 안정적인 보급 확대의 인프라가 이제 막 구축되고 있어서 이를 효율적으로 이끌어나갈 방안이 필요하다. 결국 재생에너지 확대와 효율적인 전력망 구축을 지속적으로 이끌어나갈 확실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