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규 기자
▲송명규 기자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12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준공한다고 목표를 세웠지만 설치를 넘어 향후 풍력발전이 경제성 확보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성공할 수 있느냐가 관건일 것이다. 

특히나 해상풍력은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제품들의 생산, 조립, 해상운송, 유지보수 등에 필수적인 배후항만이나 변전소 허브 등은 지역 발전에 중장기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다. 

문제는 우리에겐 그 어느것 하나 준비된 것이 없다는 의미다. 국내에서 해상풍력뿐만 아닌 풍력사업 자체가 지지부진하다보니 터빈, 부품, 지자재뿐만이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까지 해외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20% 이상 밀리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 발전사업자들이 무조건 국내 제품만 선호해야 한다는 의무도 없다. 각종 노하우를 가진 해외제조사들의 제품을 누르고 풍력터빈 공급업체로 선정될 수 있는 보장이 없다는 의미다. 

결국 풍력보급을 활성화하고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각종 노력이 시급한 현실이다. 적어도 법의 테두리 내에서 진행되는 각종 풍력설치 사업들이 불필요한 이유로 발목을 잡히며 어떤 정부기관이나 지자체가 나서도 해결이 되지 않는 답답한 인프라부터 개선하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또한 각종 리스크를 개별사업자에게 떠밀지 말고 이를 주도적으로 해결해줄 원스톱 기관 설치를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해상풍력은 엄청난 효율을 가지고 있지만 쉽게 생각했다간 낭패를 볼 수도 있고 리스크도 많다는 의미며 이를 막을 준비는 이미 시작됐어야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