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규 기자
▲송명규 기자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국내에서 해상풍력이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정부 주도적인 사업에서조차 인허가 절차가 쉬운 것이 아니다. 실제 최근 부산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청사포 해상풍력의 경우에도 2013년부터 사업준비를 시작해서 2017년이 돼서야 산업통상자원부의 발전사업허가가 났으며 그 이후로 5년가까운 시간이 흐른 지금까지도 본격적인 사업추진이 안되고 있다. 

물론 해당 사업의 경우 지역 의회가 주민수용성을 더 촉구하도록 권고한 점을 사업당사자들이받아들이면서 지역주민과의 소통과정이 진행될 예정이지만 사업진행 여부의 결정은 또다시 뒤로 미뤄지게 됐다.

단순히 청사포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추진돼 왔거나 앞으로 추진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 해상풍력이나 부유식 풍력사업 당사자들에게도 남의 일이 아닐 것이다.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주민이 참여하고 함께 이익을 공유하는 해상풍력단지 조성의 필요성을 모두가 공감하고 적극적인 최근 분위기임에도 이런 우여곡절이 계속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해상풍력 또는 부유식 풍력이 추진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 기정사실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을 달성하고 전기생산으로 인한 이익을 공유하는 올바른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더라도 해상풍력발전기들이 나란히 가동하는 모습을 보기까진 얼만큼의 시간이 필요한지 확실치 않다는 의미도 된다.

즉, 해상풍력과 부유식 풍력을 기반으로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야심찬 목표가 공약에만 그치지 않으려면 지금 당장 필요한 부분은 무엇이고 부족한 것은 어떻게 고쳐나갈지 고민을 서둘러야 된다는 뜻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