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전기와 수소차 보급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드라이브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운행 LPG자동차 숫자가 늘어나기 위해서는 LPG가격이 중요한 변수로 꼽히고 있다.

휘발유와 경유는 물론 LPG차 등 수송용 가격에 따라 지역별로 등록 및 운행되는 자동차 숫자에 사실상 희비가 교차하고 있기 때문인 셈이다.

국토교통부에서 집계한 4월 연료별 자동차 등록현황에 따르면 인구가 많이 분포된 경기도와 서울, 경남, 인천, 경북, 부산 등 도심지역에 등록된 자동차가 많았던 가운데 LPG차는 아무래도 LPG가격이 저렴한 지역에 LPG차를 많이 등록해 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LPG가격은 SK가스나 E1 등 LPG수입사가 매월 국제LPG가격, 환율 등의 요인을 반영해 가격 조정을 하고 변동된 가격으로 자동차 충전소에 LPG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다.

△LPG가격=운행 LPG차 숫자 비례한다?
LPG자동차는 택시와 렌트카 등 사업용과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비사업용으로 크게 구분되는 가운데 사업용 LPG차량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에 등록된 자동차는 총 315만9,075대로 휘발유와 경유 등의 차량이 91.97%를 차지하는 반면 LPG차량은 8.03%를 점유하는 가운데 이중 사업용 LPG차량이 8만2,874대로 41.01%, 비사업용은 17만945대로 5.78%를 각각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석유공사의 유가정보시스템인 오피넷의 5월 서울지역 LPG가격은 리터당 960원, 휘발유는 1,631원으로 휘발유대비 상대가격비율은 휘발유가 100일 때 LPG는 59.91%를 차지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LPG가격과 인구 때문에 서울에 등록된 LPG차는 25만3,828대로 비교적 많지만 LPG차 점유율은 8.03%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LPG차 가격이 전국에서 제일 낮은 광주지역이 LPG자동차 등록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월 현재 전국에서 등록 자동차 숫자가 가장 적은 세종에 이어 두 번째로 적은 곳인 광주지역에 등록된 자동차는 19만4,011대로 집계된 가운데 이 중 LPG차는 8만8,102대에 불과했지만 점유율은 12.69%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광주지역의 LPG차량 숫자가 많은 이유는 국가유공자 등에 허용됐던 LPG연료사용제한과 함께 다른 지역에 비해 저렴한 LPG가격 두가지로 압축되고 있다.

즉 지난 2019년 3월26일 이전만 하더라도 액화석유가스의안전관리및사업법에는 LPG를 자동차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택시, 렌터카 등 사업용 차량이거나 국가유공자 등 일부 계층들에게만 허용돼 왔기 때문에 5,18 민주화유공자가 많은 지역 특성과 함께 충전소 간 치열한 가격 경쟁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 LPG가격이 저렴했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광주에 이어 대전지역도 LPG차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전의 경우 68만9,873대의 전체 등록차량 가운데 LPG차는 6만8,042대로 경남이나 경북 등에 비해 평균 LPG가격이 비쌌지만 충전소들간 가격 경쟁은 더 활발했던 영향으로 보인다.

전북지역에 등록된 자동차는 95만2,899대였던 가운데 LPG차는 9만3,674대가 등록돼 전북의 전체 등록차량 가운데 9.83%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전북 소재 LPG충전소 판매가격은 리터당 886원으로 리터당 1,554원에 판매되는 휘발유 대비 상대가격은 58.17을 나타내 다른지역에 비해 LPG가격이 저렴한 곳에 꼽혔다.

전남지역에는 112만9,402대의 전체 자동차 가운데 LPG차는 10만9,610대로 LPG차 점유율은 9.71%를 나타냈다.

전북지역의 LPG가격은 리터당 886원으로 전남지역과 같은 가격을 형성했지만 리터당 1,542원에 판매되는 휘발유가격에 상대가격이 57.01로 다른지역보다 낮아 저렴한 지역 중의 하나로 꼽혔다.

△시사점과 필요한 대책은
국민들의 자동차 선택에서 중요한 고려 요인이 유지비, 즉 폐차에 이르기까지의 연료비 가격 부담인 것으로 보인다.

LPG가격이 각 지역에 등록된 LPG차량 숫자와 사실상 비례해 증감하는 모습을 나타내 SK가스나 E1 등 LPG수입사 또는 자동차 충전소에서 어떤 LPG가격 정책을 어떻게 펼치느냐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게 될 것으로 분석된다.

물론 에너지전환 및 탈탄소 시대를 앞두고 저렴한 LPG가격 정책을 펼치더라도 정부의 친환경차에 대한 지원금 확대등의 변수가 없지 않아 보인다.

결국 전기나 수소차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까지 LPG공급사는 물론 자동차 충전소에서 박리다매 형태의 LPG가격 정책을 펼칠지, 아니면 전국 각 지역에 소재한 LPG충전소가 적게 팔고 많은 이익을 남기는 전략을 구사할지 여부에 따라 LPG차 등록 증감 현황에 엇갈리는 명암을 주게 될 것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