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e-fuel 연구시설 아우디·지멘스(좌부터).
해외 e-fuel 연구시설 아우디·지멘스(좌부터).

[투데이에너지 유정근 기자] 국내 e-fuel 관련 연구에 산·학·연·관이 적극적으로 협력해 향후 e-fuel의 성장 가능성에 폭넓게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온실가스를 줄이는 친환경 합성연료인 수송용 탄소중립 연료(e-fuel) 산업동향 보고서를 14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규제 강화와 2050 탄소중립 선언 등의 영향으로 배출가스 저감 기술과 친환경 대체 연료 사용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e-fuel은 전기 분해로 얻어진 수소에 이산화탄소, 질소 등을 합성해 생산한 친환경 연료다. 기존 내연기관에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소중립에도 기여할 수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현재 플랜트에서 직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방식에 비해 효율성이 낮고 연료를 생산할 때 제조 비용과 전력 소비량이 높아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국가들은 이미 e-fuel 개발·생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독일은 지난 2019년 7월 연방환경부에서 e-fuel 생산을 위한 P2X(Power to X) 실행 계획을 발표했다. 일본은 지난 2020년 10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기차 보급 및 배터리 성능 확대와 함께 e-fuel을 개발해 2050년까지 연료 가격을 가솔린보다 저렴하게 만들기로 했다.
 
자동차, 항공·선박, 에너지 등 업계에서도 e-fuel 활용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아우디는 2017년 e-fuel 연구시설을 설립한 이후 e-fuel 생산 및 엔진 실험에 착수했다. 토요타·닛산·혼다 등 일본 완성차 업체 3개사는 탄소중립 엔진 개발을 위해 e-fuel 연구에 돌입했다. 

그러나 한국의 e-fuel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화학연구원, KAIST, UNIST 등에서 관련 생산 기술을 연구개발 중이다.

연구원의 관계자는 “독일과 일본 정부는 이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e-fuel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해외 자동차 업계와 항공사 등도 e-fuel 활용을 위한 준비에 돌입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한국의 e-fuel 기술은 걸음마 단계인 만큼 산·학·연·관의 기술 개발 방향과 생산 비용 절감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라며 “정부는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e-fuel 활용 확대 가능성을 제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