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 실현 등 전세계가 나서야 하는 궁극의 지향점이다. 

산업혁명 이후 삶은 윤택해졌지만 반대로 수많은 공장과 가정에서 내뿜는 오염물질로 인해 지구는 서서히 병 들어갔다. 결국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 온도는 상승하고 이제는 폭염, 폭우 등 자연재해로 이를 막기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4월 열린 기후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추가 상향해 올해 안에 유엔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를 목표로 정부는 지난해 12월 유엔에 2030년 NDC를 2017년대비 24.4% 감축하되 2025년 전까지 적극 상향하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상향해 그동안 대표적인 온실가스 감축 대안으로 제시된 탈원전, 탈석탄 등만으로는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한다. 

환경부는 그동안 온실가스 감축에서 소외됐던 냉매에 주목하고 있다. 

2017년 냉매 생산량(3만4,998톤)대비 회수율은 0.37%(267톤)에 불과했고 2018년에도 회수율은 0.68%(251톤), 2019년에는 0.84%(291톤)에 머물렀다. 2017∼2019년 냉매의 연평균 생산량(제조+수입)대비 회수실적은 0.76%로 사실상 지구온난화와 오존층파괴물질인 냉매가 회수되지 못한 채 그대로 대기로 배출되고 있다.

이는 냉매 관리시스템의 부재에 기인한 것이다.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HFC, HCFC 등 불소계 냉매 사용기기에 QR코드를 부착하는 시범사업이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3년간 100억원을 투입돼 냉매의 전 과정을 추적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냉매 관리 강화에 활용된다. 냉매 사용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조사원이 7월부터 현장을 방문하게 된다. 문제는 대다수의 냉매 사용기기는 출입 제한구역 내 설치돼 조사원 조사에 냉매 사용기기 소유자가 동참을 얼마 끌어내느냐가 관건이다.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대의적 명분도 중요하지만 친환경 냉매로의 전환에 대한 실질적 혜택도 충분히 전달돼야 한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냉매 관리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그래서 이번 시범사업에 거는 기대감은 크고 함께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