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국내 ESS업계는 사실상 고사 상황이다. 그나마 태양광발전 등 타 에너지원사업과 병행해 시장에 진입해온 기업들을 제외하고 국내에서의 매출 자체가 희박할 정도로 산업이 침체된 것이다. ESS산업이 위축된 것은 화재에 따른 리스크를 업체들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국내 한 대기업이 제조공장에 설치하기 위한 ESS와 관련한 입찰에 정말 원가도 건지기가 어려울 정도의 입찰가격이 나올 정도라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더군다나 ESS는 3020 등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정부 출범시기부터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를 권하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하며 시작해왔던 산업이기 때문에 더욱 안타깝다. ESS에 적극 투자해온 사업자들은 정부가 지속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표방하고 ESS와 연계했을 경우 가중치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믿고 뛰어든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탄소중립의 발판인 재생에너지를 늘려나가는 과정에서 ESS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미였는데 지난 몇년동안 태양광발전소 연계 ESS설비들에서 발생한 화재사고로 인해 ESS 산업활성화와 관련된 정책 자체가 ‘나몰라라’식으로 바뀌면서 이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워지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기만 하다.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은 날씨 등 여러요인에 따라 전력의 생산량과 품질이 요동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즉 간헐성이 높다는 것인데 외부요건에 따라 바뀌는 단점을 보완해주고 저장된 전력을 활용해 전기를 아낄 수 있고 심지어 요즘 주목받는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수전해 투입까지도 가능한 탄소중립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래도 왜 ESS가 필요한 것인지 모르겠다면 탄소중립, 그린뉴딜을 달성하기 위해 정말 ESS가 필요가 없는지 생각해보자. 그리고 ESS의 안전을 확보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기울여온 정부와 업계의 많은 노력들은 단순히 국민의 질타가 무서워 부담을 피하기 위해 한 것이었는지 다시 묻고 싶다. 

최근 녹색프리미엄입찰제와 RPS 가중치 조정 등 재생에너지와 관련해 향후 몇년간 이어질 변화된 제도가 첫 출발을 할 예정인 가운데 ESS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대책도 깊이 고민할 필요성이 높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