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병인 기자]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의 상용화를 위해 정부가 적정한 수준의 수익을 보장하는 선에서 지원해야 한다”

한국가스연맹의 주최로 7일 웨비나로 개최된 ‘2021 제3차 KGU에너지포럼’에서 유동헌 에너지경제연구원 명예선임연구위원은 “CCUS는 아직은 홀로서기가 가능하지 않은 도전적 분야이므로 정부의 지원으로 인프라구축과 운영이 필요하다”라며 “탄소중립은 경제적, 전략적으로 실시돼야 하며 단일 Unit에 대한 지원보다는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CCUS는 발전 및 산업체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CO₂를 포집해 해양지중 등에 저장하거나 화학소재, 비료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해 활용하는 기술이다. 석탄발전 등 화석연료 연소공정, 시멘트, 철강, 석유화학 등 CO₂ 다배출 플랜트에는 거의 유일한 감축수단이다.

특히 최근에는 메탄에서 수소를 추출하고 남은 탄소를 CCUS 기술로 포집하는 방식으로 생산하는 ‘블루수소’가 에너지업계의 큰 관심을 끌면서 CCUS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졌다.

정부는 친환경 핵심기술인 CCUS 큰 관심을 갖고 다양한 R&D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8년 7월 발표된 ‘온실가스감축로드맵수정안’을 통해 2030년부터는 CCUS를 활용해 연간 1,030만톤의 탄소를 감축한다는 공격적인 목표도 설정했다.

지난 4월에는 CCU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해 CCU 전주기 핵심기술개발 R&D 강화, 탄소 대배출 업종 대상 CCUS를 확대적용해 상용화를 촉진하는 등의 계획도 세웠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해외에서도 프랑스, 독일, 영국, 덴마크 등의 EU도 CCUS를 주요 탈탄소 수단으로 여기고 기술개발을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CCUS를 활용해 포집 처리된 CO₂ 당 최대 5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캐나다,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도 CCUS 확대를 위해 관련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이다.

유 연구위원은 “CCUS가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지만 아직은 가보지 않은 길로 작은규모의 저장 실증 경험은 있으나 상업적 저장은 여전히 도전적인 기술이다”라며 “기술이 발전해 상업화 과정을 거쳐 시장에 유통까지 이뤄져야 감축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유 연구위원은 “시장에서 홀로 설수없느 도전적 기술을 이용해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수준의 규제 하에서 지원되는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라며 “포집된 CO₂를 활용하는 것도 역시 새로운 분야이므로 활용에 대한 별도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유 연구위원은 CCS 지원제도를 활용해 시장도입이 원활하도록 유인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CCUS산업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포집과 수송 및 저장을 분리하는 등 체계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포집된 CO₂의 처리방안, 제품의 사후관리방안, 요금책정방안 등 관련 제도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유 연구위원은 “적정 수익을 포함한 인프라 비용을 반영할 수 있는 단계적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