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정전사고 후 임시복구 장면.
아파트 정전사고 후 임시복구 장면.

[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무더위가 기세를 올리면서 냉방기기 사용량이 급증하자 곳곳에서 크고 작은 정전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 오래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한국전기안전공사(사장 박지현)는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에버서비스 등 정전사고 긴급복구 지원활동을 펼쳐온 결과에 따르면 신고 접수 처리된 아파트 정전사고 842건 중 준공된 지 20년 이상 된 아파트에서 일어난 사고가 353건(전체의 42%)로 가장 많았다. 

또한 세대수 별로 나눈 통계에서도 500세대 미만 아파트 정전사고 비중이 56%(471건)로 가장 높았다. 준공된 지 오래 된 중소규모 단지 아파트의 경우 가설 당시 세대 당 전기사용량 기준을 대부분 3kW로 설계해 변압기 과부하 사고 발생률이 그만큼 높은 까닭이다. 

사고 기기별로는 저압차단기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20%로 가장 많았으며 변압기와 특고압기기가 각각 18%, 13%를 차지했다. 

월별·계절별 사고 통계를 살펴도 무더위가 한창인 7월에서 9월 한여름에 일어나는 정전사고가 전체의 47%를 차지했다. 

이 같은 아파트 정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아파트 전기안전관리자가 단지 내 가동 중인 변압기, 차단기 용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전기사용량이 변압기 적정용량을 넘어설 경우를 대비 즉시 교체가 가능한 예비제품을 마련해 둬야 한다.

또한 여름철 정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시간대인 오후 6시부터 밤 10시까지는 변압기 상태에 대한 수시점검과 집중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과부하가 우려될 때는 단지 내 입주민에게 냉방기기 사용 자제 등 절전 안내방송으로 신속히 상황을 전하고 비상용 발전기는 평소 충분한 사전 점검으로 정전 사고 시 즉각 가동될 수 있도록 관리해 둬야 한다.  

임종민 안전관리처장은 “15년 이상 오래된 전기설비는 안전전문기관의 정밀진단과 점검을 통해 용량 부족과 정전사고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이상 있는 설비는 제때 교체해주는 것이 사고를 막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기안전공사는 올여름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해 최근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취약시설 전기설비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공공·민간 비상용발전기 가동 지원은 물론 발전소 등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사용전·정기검사, 준공 25년 이상 노후아파트 1,100여 곳에 대한 수전실 특별 안전점검을 시행할 계획이다.

전기안전공사는 이와 함께 대규모 아파트나 국가 주요시설을 대상으로 정전사고 시 긴급복구를 지원하는 ‘에버서비스’도 펼쳐오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