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에너지를 활용하는 수소개발사업에 올해부터 가스안전공사도 본격적으로 한 부분을 참여하게 됐다. 연구원 설립 이래 40억이란 최고 과제를 따냈다는 성과도 크지만 무엇보다 국가적인 새로운 에너지개발 사업에 한 부분을 공사가 맡게 됐다는데 무엇보다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사실 가스산업은 안전이란 기본조건을 충족하지 않고는 사업의 진행자체가 불가능할 수 밖에 없다. 더구나 차세대 에너지로서 주목받고 있는 수소는 그 불안정한 물질적 특성상 안전에 대한 문제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같은 이유로 수소사업단 출범 후 뒤늦었지만 안전에 대한 연구분야가 신규로 마련됐다는 점은 환영 받을 일이다.

국내 대다수의 연구는 주로 실용화에만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이러다보니 제품을 개발한 후 뒤늦게 안전에 대한 사항이 추가되는 경우나 제품이 출시되는데 맞춰 관련 규정을 해외에서 도입 적용하는데 급급한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우리만의 안전에 대한 가이드도 제대로 마련치 못하는 것이 국내의 현실이다.

결국 이같은 관행은 사업화를 시행하기 전 안전을 충분한 고려대상으로 삼을 수 없는 이유가 되고 결국은 돌이킬 수 없는 시행착오나 사고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바로 그 대표적인 예가 CNG 용기의 국산화 과정에서 나타난 바 있다.

결국 이같은 상황은 가스산업에 있어 어떠한 시스템이나 제품을 개발할 때 안전이란 기본적인 요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필요성을 반증하는 대표적인 사례라 하겠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수소의 실용화사업에 안전이 한분야로 참여하게 된 것을 환영하는 바다. 그러나 더욱 바라는 것은 가스안전공사 연구원이 기존의 사업에 뒤늦게 참여하는 연구조직이 아니길 바라는 마음이다. 누구보다 앞선 감각과 사고로 업계가 어떠한 제품이나 시스템을 실용화하는데 뒤늦게 기준을 정비하기 보다는 업계보다 한발 앞서 제품 개발을 제안하고 참여하는 중추적인 안전연구기관으로 거듭나 주길 바란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