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각국의 탄소중립 정책이 강화되면서 전통연료인 석유는 물론 LPG와 LNG가격이 급격하게 오르고 있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양적완화 정책 규모를 점차 축소해 나가는 테이퍼링이 실시될 것이 예고되고 있지만 유동성이 넘치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원자재 가격을 상승시키고 석유와 LPG·LNG가격도 급격히 우상향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해외 에너지 도입 의존도가 90%를 훌쩍 뛰어넘는 우리나라는 계절적 특성으로 인해 10월부터 에너지가격 상승 국면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입장에 놓이게 됐다.   

신재생과 수소 등을 통해 2050 탄소중립을 조기에 앞당겨야 하는 정책 방향은 명분과 타당한 이유가 충분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현실은 석탄과 원자력, LPG와 LNG 등 화석연료에 기반을 두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가격의 급등은 그만큼 국민들의 연료비 부담을 높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될 경우 에너지 수급과 가격 안정에 대해 정부가 너무 안일하게 대응했다는 불만이 제기될 우려가 적지 않다. 

저탄소 사회를 앞당겨야 한다는 정책 방향에는 동의하지만 급격한 에너지가격 상승은 그렇지 않아도 좋지 않은 코로나19로 충격이 적지 않은 영세 소상공인과 서민들이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동절기를 앞두고 난방용 수요에 에너지가격이 통상 오르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상식적이지만 올라도 너무 오르는 상황이 연출된다면 서민들이 이를 환영할리 없다. 

에너지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비축유 방출을 비롯해 유류세 인하 등 다각적인 대책 방안을 강구해야 급변동하는 에너지가격에 정부가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지적도 대두되고 있다.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제품은 물론 LPG와 도시가스에 이어 전기요금까지 줄줄이 오르면 코로나19로 인해 그렇지 않아도 힘든 국민들의 부담은 그만큼 높아지고 이에 따른 불만도 커질 것은 자명하다.  

정부가 효과적인 가격 안정 대책을 통해 위축된 경기상황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에 놓인 서민들의 마음을 어루만져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